역대급 실적에도 '차분한' 현대차·기아···대내외 불확실성 산적
역대급 실적에도 '차분한' 현대차·기아···대내외 불확실성 산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작년 합산 영업익 27조6145억원 추정···2023년 대비 3.3%'↑'
트럼프 2기 출범 등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성장 가능성은 커
신사업·신기술 투자, 모델 라인업 확충 등 발 빠른 대응 영향
현대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 (사진=현대자동차그룹)
현대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현대차·기아가 지난해 역대 최고 실적을 거뒀으나 분위기는 침착하기만 하다. 국내 정치적 불안정 장기화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 불확실성이 확산하고 있어서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현대차·기아가 미래 모빌리티 신사업·신기술 투자,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모델 라인업 확충 등 발 빠른 대응에 나선 만큼 대내외 난관을 극복하고 지속 성장을 이어갈 수 있다고 분석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오는 23일, 기아는 오는 24일 각각 2024년 경영실적을 발표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양사의 작년 합산 영업이익을 27조6145억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기존 역대 최고 실적인 2023년 대비 3.3퍼센트(%) 증가한 수치다. 양사는 해외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의 판매 증가와 하이브리드차를 포함한 고수익차 판매 집중, 우호적 환율 효과 등에 힘입어 이같은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합산 판매량의 경우 723만1248대를 기록, 3년 연속 글로벌 톱3를 지켰다. 

이처럼 호실적을 거둔 현대차·기아지만, 전반적인 분위기는 차분하기만 하다. 국내 정치적 불안정 장기화에 따른 소비 심리 둔화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의한 정책적 변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확산 때문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지난 6일 현대모터스튜디오고양에서 열린 신년회에 참석해 "'작년에 잘 됐으니까 올해도 잘 되겠지'라는 생각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예측이 어려운 국제 정세,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 급변과 무역 갈등, 소비자 우위 시장과 전기차 수요 둔화, 신흥 경쟁사들의 기술 발전과 도전으로 인한 어려운 경영환경에 직면해 있는 만큼 위기 요인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고 했다.

업계는 올해 글로벌 시장은 대내외 불확실성 확산에 따른 주요국 수요 정체와 경쟁 심화 등 여러 악재가 예상되지만, 현대차·기아는 미래 모빌리티 신사업·신기술 투자 강화, 모델 라인업 확충 지속, 기민한 정치적 지형변화 대응 등으로 지속 성장할 거라고 내다봤다. 윤혁진 SK증권 연구원은 "현대차는 수요 대응을 위한 친환경차 판매 강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발맞춘 북미 현지 생산 체계 본격 확대, 다품종 유연 생산 중심의 제조 혁신을 토대로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며 "미국·중국과 비교해 뒤쳐진 자율주행기술 경쟁력에 대한 우려는 보스톤다이나믹스의 로보틱스, 슈퍼널의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모셔널의 로보택시, 웨이모·엔디비아와의 전력적 협력 등 혁신적이면서도 도전적인 미래 전략으로 잠재울 수 있다"고 분석했다.

윤 연구원은 이어 "기아는 경제형 전기차 라인업 확대, 목적기반모빌리티(PBV) 및 전략 차종 출시 등을 통해 판매 성장세를 지속하고 차별화된 이익 역량을 확보할 전망"이라며 "무엇보다 경쟁사 대비 우수한 전비·연비는 올해로 예정된 유럽연합 배출가스 규제 강화에서 자유로울 것으로 판단한다"고 봤다.

조희승 iM증권 연구원도 현대차·기아의 미래 모빌리티 신사업·신기술 투자 강화, 내연기관차·하이브리드차·전기차 등 균형잡힌 모델 라인업 구축 및 확충, 미국 내 생산 확대 및 점유율 상승을 긍정적으로 보며 지속 성장을 점쳤다. 다만 기아에 대해서는 "전기차 수요 둔화 현상과 이로 인한 인센티브 증가, 광명·화성 전동화 공장 고정비 부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기아 멕시코 공장 관세 인상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임현진 한국자동차연구원 산업분석실 선임연구원은 "중점 사항인 기아 멕시코 공장 관세 인상이 현실화한다면 누에보레온주 공장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향하는 약 15만대 차량 중 일부를 미국 생산으로 전환하는 등 생산 조정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도 "신기술 연구개발, 생산방식 혁신 및 공급망 효율화, 가격 및 제품 경쟁력 강화 등을 추진 중인 만큼 정책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관세 인상이 중국 업체 제품 견제로 해석할 가능성도 있어서 한국 업체 제품 관세 부과는 후순위 쟁점 사항으로 판단해 올해 내 실현하지 않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