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 "금융의 신뢰하락은 불확실성 탓"
학계 "금융의 신뢰하락은 불확실성 탓"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신뢰하락' 세미나

[서울파이낸스 윤동기자] 예측할 수 없는 금융당국의 규제와 직원에게만 문제를 떠넘기는 식의 금융사의 내부통제 등 최근 대응으로 금융소비자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7일 금융연구원은 서울 명동에 위치한 YWCA에서 '금융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신뢰하락'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 토론자들은 금융당국과 금융사가 최근 해결책이라고 내놓은 방안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김상조 한성대학교 교수는 "금융에 대한 신뢰하락에 금융당국이 원인인 것이 분명한데 이에 대한 문제제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이 아쉽다"며 "금융당국의 재량권이 막강한데 이를 불분명하고 오락가락하는 식으로 사용되다보니 금융사들이 당국 조치에 대한 예측이 어렵고 이 때문에 새로운 시도를 하지 않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 교수는 대표적으로 김종준 하나은행장의 거취문제를 금융당국의 실책으로 꼽았다. 김 행장이 잘못이 있었으면 이를 명확히 지적하고 책임을 묻는 소비자보호 사례임에도 이를 부적절하게 처리해 시장의 혼란을 키웠다는 것이다.

금융사에 대해서는 CEO 임기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것이 신뢰회복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뢰회복을 위해서는 금융사 CEO들이 일선 영업조직보다 후선 관리조직에게 힘을 쏟아야 하는데 국내 금융사 CEO의 목숨이 파리 목숨이기 때문에 내부통제 등이 뒷전이 된다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CEO가 조직의 체질을 바꾸는데 5년 반 정도 걸린다는 외국의 연구결과가 있는데 국내 금융사 CEO는 임기가 3년에 불과하고 그 조차도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결국 언제 짤릴지 모르기 때문에 영업만 강조하게 된다"고 말했다.

금융사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내부통제 방안이 잘못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동원 고려대학교 교수는 "지금 금융사들이 하는 내부통제 강화는 결국 문제위험을 희석시켜 누군가 잘못을 혼자 떠안지 않도록 하는 식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지점장들에게 금융사고 책임을 지우는 식의 내부통제 강화 이유는 결국 CEO와 이사회가 책임질 것을 책임지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금융사에 대해 푸쉬영업과 R&D의 부재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금융사 영업직원들은 고객이 이미 맡긴 돈에는 관심이 없고 고객의 새로운 돈과 회사의 신상품을 팔려고만 한다는 것.

또 삼성전자가 R&D로 매출의 13%를 쓰는 것과 달리 금융권의 R&D가 뒤쳐져 있으며 이때문에 복잡해진 금융상품의 위험을 제대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영업사원을 키워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소비자의 입장에서 금융사의 기준이 소비자보다는 당국에 맞춰 있다는 것도 문제가 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조연행 금융소비자연맹의 대표는 "금융사가 소비자를 봐야하는데 관을 보고 있는 점이 문제"라며 "금융사고가 일어나도 대처를 생각하지 않고 모르쇠로 나오는 것도 금융사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원인이다"고 지적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