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외환銀 통합 노사협상, 첫날부터 난항
하나-외환銀 통합 노사협상, 첫날부터 난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정초원기자] 하나-외환은행의 통합을 위한 노사 협상이 첫 상견례부터 별다른 소득 없이 종료됐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노사 협상단은 지난 14일 저녁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조기통합을 논의하기 위한 공식 협상 자리를 가졌지만 대화의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종료됐다.

이처럼 협상이 진전 없이 끝난 배경에 대해 외환은행 노조는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이 협상에 2시간 지각한 데 이어 회의 시작 30분만에 먼저 자리를 떴다"고 주장하는 반면, 하나금융지주는 "김 회장은 애초에 협상단에 속하지 않았다"고 반박하고 있다. 

우선 외환은행 노조는 "14일 상견례는 양측간 대화의 첫 문을 여는 자리로, 양측 수장이 참석하는 것이 모든 협상의 관례인데도 김 회장이 나타나지 않아 노조가 2시간을 넘게 기다려 시작됐다"며 "김 회장은 회의시작 30여분만에 '오늘 상견례는 없던 걸로 하자'며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고 설명했다. 

반면 하나금융 관계자는 "김 회장은 이번 협상단에 포함되지 않아 임원 워크샵에 참석하고 있었다"며 "노조가 일방적으로 김 회장의 참석을 요구한 상황이라, 김 회장이 지각했다는 표현은 맞지 않다"고 맞섰다. 실제로 당초 구성됐던 노사 협상단은 하나금융지주-외환은행 임원 4명과 외환은행 노조 대표 4명 등 총 8명으로, 김 회장과 김근용 노조위원장은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이 관계자는 김 회장이 회의 시작 30분만에 자리를 뜬 것에 대해 "노조가 김 회장에게 다섯가지 요구사항을 제시했는데, 그 내용은 CEO가 그 자리에서 답변할 수 없는 내용이라 일단 대화를 중단하고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첫 상견례 자리에서 김 회장에게 △일방적인 합의위반에 대한 사과 △새로운 합의서 체결 전까지 IT 통합 및 합병승인 신청 등 중단 △정규직 전환 등 신뢰회복 조치 시행 △대화단에 대폭적인 권한 위임 △합의 불발시 기존 2.17 합의 이행 등의 내용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