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톡톡] 강진군 '지방 소멸 대응' 주목받는 까닭은
[뉴스톡톡] 강진군 '지방 소멸 대응' 주목받는 까닭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진원 강진군수, 행안부 초청 지방 소멸 대응 우수시책 특강
농민 수당·지역상품권 최초 시행···주거·육아·일자리 패키지 선도
강진원 강진군수가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시·군·구 부단체장 국정철학 공유 워크숍'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사진=강진군)
강진원 강진군수가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시·군·구 부단체장 국정철학 공유 워크숍'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사진=강진군)

[서울파이낸스 (강진) 강성영 기자] 전남 강진군의 각종 선도 정책들이 중앙정부는 물론 전국 지자체로 확산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강진원 강진군수가 전국 부단체장들을 대상으로 관련 특강을 해 눈길을 끌었다.

27일 강진군에 따르면 강진원 군수는 전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전국 시·군·구 부단체장을 대상으로 '지역 발전을 위한 신규시책 수립 전략'이라는 제목으로 강진군이 지방 소멸 극복을 위해 추진했던 정책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비전을 제시했다.

강진군의 선도 정책은 2017년 농민 수당 지급, 관광 전문 재단 설립과 군 단위 최초 '방문의 해' 추진과 성공 신화,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등 전국에서 처음 시행한 것이 많다. 농민 수당 지급과 관광 활성화를 위한 재단 설립, 지역상품권은 정부 정책에 반영되거나 전국으로 확대돼 지금은 보편화됐다. 

도시민 유입을 위한 농촌 주거 빈집 리모델링과 신규마을 조성, 전국 최고·최대의 강진형 육아수당, 농촌 일자리 푸소체험, 반값가족여행, 불타는 금요일 불고기 파티 '불금불파', 관광객의 발걸음이 사계절 멈추지 않는 축제들이 그것이다. 

특히 지난달 16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강진을 방문해 "강진군의 우수사례는 남다른 노력과 뚜렷한 성과"라고 높이 평가하며 그동안 강진군민과 900여 공직자가 뜻을 모아 이뤄낸 공적에 놀라움을 표현했다.

강진군의 지방 소멸 극복 대응 정책은 울산 동구, 경북 구미, 경남 남해, 경기 양평, 전북 순창, 전남 해남과 곡성, 강원 포천과 태백 등 전국 지자체에서 벤치마킹하며 강진군의 선도 정책을 체험했다.

또한 행정안전부는 지역경제과, 기업협력지원과, 5급 승진리더 과정, 지방자치 인재개발원 중견리더과정 등 주요 부서와 교육과정을 강진 현지에서 진행했다. 

이에 따라 강진군은 전국에서 몰려드는 중앙부처와 지자체를 대상으로 '정책투어'를 마련했다. 올 들어 6월 말 현재 앞서 언급한 중앙부처와 지자체 20여 곳 이상이 참여했으며 지속적으로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강진군은 정주인구 확대 방안인 △빈집 리모델링 지원 사업, 주택 신축 지원 사업, 신규마을 조성 사업 등의 '주거' △푸소(FU-SO) 시즌2 운영, 강진 특화형 일자리 지원 등의 '일자리' △전국 최고·최장 규모의 육아수당 등의 ‘육아’와 생활인구 확대 △푸소체험, 반값가족강진여행, 불금불파, 마량놀토수산시장, 청자축제, 남미륵사 서부 해당화축제 등의 '관광활성화' △전남인재개발원, 다산청렴연수원, 전남교통연수원, 다산학생수련원 등의 '기관 유치 및 연결' 등 5가지 분야의 인구정책에 대한 내용을 적극 체험케 하고 공유하고 있다.

이중 강진형 육아수당은 전국 최고 수준으로 2022년 10월부터 출생아 수에 상관없이 매월 60만원 84개월간 5040만원을 지급했다. 지난해까지 203명 11억원을 지급했으며 올해는 278명, 20억원을 지원했다. 2022년 대비 2023년 출생률은 69.2% 증가, 2024년 1분기 출생률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79.3% 증가해 뚜렷한 성과를 내고 있다.

'불금불파'의 경우 전라병영성, 하멜 맥주, 병영면 한골목, 병영면 돼지불고기 등 흩어져 있던 관광자원을 묶어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놓은 사례다. 

강진원 강진군수는 "절박하면 통하게 되고, 절박해야 대박을 낳는다"며 "지방 소멸 대응의 해답은 강진군에 있다. 강진군민과 전 직원들의 노력이 담긴 정책을 펼치며 지역 소멸 위기에 맞설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