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풍수해보험 가입률 1.7% 불과
국내 풍수해보험 가입률 1.7% 불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험개발원> 보험보상률 4% 수준

[서울파이낸스 박민규 기자] 국내 풍수해 관련 보험가입률이 1.7%에 불과해 보험가입을 통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보험개발원은 24일 풍수해에 대한 전체 피해자료와 보험통계를 연계·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늘어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연간 평균 피해액이 1조9000억원에 달하는 등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다.

그럼에도 재산에 대한 보험가입률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재해발생시 자력복구능력이 취약한 일반주택과 중·소규모의 상가·공장의 보험보상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16층 미만의 일반주택과 중·소규모의 상가·공장에 대한 최근 5년간(2003~2007년) 풍수해로 인한 피해와 보험보상 실적을 보험개발원이 분석한 결과, 일반주택의 피해액은 1946억이었으나 보험보상액은 85억원으로 보험보상률이 4.4%에 불과했다. 또한 중·소규모의 상가·공장의 경우에도 피해액 1조1718억 중 3.9%인 454억원만 보험보상을 받았다.

스위스리에 따르면 미국·유럽 등 선진외국의 경우 자연재해 피해에 대한 보험보상률이 55%~8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내에서 풍수해에 대한 보험보상률이 낮은 이유는 화재보험의 풍수재특약 가입률이 주택 1.2%, 일반·공장 1.9%로 전체적으로 1.7%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풍수재특약 보험가입률이 이렇게 낮은 것은 재해발생이 지역적·시기적으로 편중돼 위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자연재해 피해의 경우 정부가 무상으로 복구비의 일부(30%~35%)를 지원하는 재난지원금제도가 존속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지난 2006년 보험료 일부를 정부가 보조하는 정책성보험으로 도입된 풍수해보험도 보험가입대상이 주택·온실·축사로 제한돼 있는 데다, 보상금지급 실적도 아직은 미약한 수준으로 분석됐다. 

이에 보험개발원은 늘어나는 풍수해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소유물에 대한 화재보험의 풍수재특약 또는 정책성보험인 풍수해보험에 적극 가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