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5년, 수도권 고가 아파트 10만가구 감소
MB정부 5년, 수도권 고가 아파트 10만가구 감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성재용기자] MB정부 5년 동안 수도권 9억원 이상 고가아파트가 10만여가구 줄어들었다.

22일 닥터아파트는 MB정부가 시작된 2008년 2월25일부터 2013년 2월 현재까지 수도권 9억원 이상 아파트 가구수를 조사한 결과, 13만7507가구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MB정부가 시작된 2008년(23만8235가구)보다 42.28%(10만728가구)가 감소한 것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감소율이 가장 적다. 2008년 19만2939가구에 달했으나 2013년에는 12만7913가구로 5년간 33.70%(6만5026가구)가 줄었다.

서울은 중구(97.15%), 강동구(85.43%), 동작구(75.22%), 구로구(74.25%) 등 감소율이 70% 이상이다. 중구는 2008년 2월 당시 9억원 아파트가 982가구 있었지만 현재 28가구로 밖에 없는 상태다. 강동구도 2008년 5902가구에서 2013년 860가구로 줄었다.

경기는 1만779가구에서 2059가구로 80.90% 감소했다. 경기에서는 감소율이 100%를 기록한 지역이 3곳이나 된다. 감소율 100%란 2008년 2월 당시에는 9억원 초과 아파트가 있었지만 현재는 단 한 곳도 없다는 것이다. 광명시, 수원시, 안양시 등은 현재 9억원 초과 아파트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도시는 MB정부 초기 9억원 이상 아파트가 3만3058가구였지만 현재 7502가구로 77.30% 줄었다. 산본은 감소율 100%를 기록했으며 이외에 평촌(98.3%), 일산(78.03%), 분당(74.94%) 순이다. 1기신도시의 경우 리모델링사업 추진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 투자심리도 감소해 하락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인천은 9억원 초과 아파트가 97.74% 줄었다. 부평구는 현재 9억원 초과 아파트가 단 한 가구도 없는 상태다. 연수구는 1418가구에서 6가구로 줄었으며 2008년 당시 송도에 고가아파트가 집중됐으나 현재는 가격이 하락해 가구수도 줄었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투자심리가 급속히 위축 된데다 고가 아파트는 주로 대형으로 구성돼 수요자들의 관심을 받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안소형 닥터아파트 팀장은 "부동산시장에 대한 불안감이 커져 고가 아파트의 인기가 떨어지고 있다"며 "최근 주택시장은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되면서 고가 아파트의 감소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