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사건' 금융권 불똥…경남기업 특혜대출 의혹
'성완종 사건' 금융권 불똥…경남기업 특혜대출 의혹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온라인속보팀] 이른바 '성완종 게이트'의 불똥이 금융권으로 튈 조짐이다. 고 성완종 전 회장이 대주주였던 경남기업이 상장폐지되면서 채권단이 대규모 손실을 떠안게 됐기 때문이다.

더구나 감사원 감사에서 채권단이 무리한 지원을 했다는 정황이 포착됐고, 이 시기 성 전 회장이 금융권 인사들을 만났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특혜대출 의혹마저 제기되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5일 경남기업이 상장 폐지되면서 채권은행들이 당장 입은 손실은 8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하지만, 경남기업에 대한 전체 여신이 1조 3천억 원에 이르는 만큼 손실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경남기업이 법정관리에 들어간 점을 감안할 때 이중 80% 가량인 1조원을 떼일 거라는 예상까지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특혜대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먼저 워크아웃이 진행중이던 지난해에도 4천억원 이상 신규대출되는 등 무리하게 자금 지원이 이뤄진 정황이 감사원 감사에서 드러난 바 있다.

특히 2차 워크아웃 결정을 앞둔 2013년 9월 성 전 회장이 금융권 인사들을 집중적으로 만난 정황이 포착됐다. '성완종 일정표'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같은 사실이 확인됐다. 이에 따르면 성 전 회장이 만난 인사들은 워크아웃을 담당하는 금융감독원 국장과 채권은행들의 전현직 최고경영자들이다.

당시 성 전 회장은 금융을 관할하는 국회 정무위 소속 국회의원이었기 때문에 성 전 회장이 압력을 행사해 무리한 지원을 이끌낸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감사원 감사에 이어 이른바 '성완종 일정표'에 금융권 인사들이 대거 등장함으로써 검찰 수사가 '특혜(부실)대출' 의혹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