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금융개혁·혁신'에 앞서 '소통'부터
[기자수첩] '금융개혁·혁신'에 앞서 '소통'부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김기식 전 금융감독원장이 했던 말이 있다. "금융회사의 불건전한 영업행위로 인해 금융 소비자 피해가 빈발하고, 가계부채 문제에 일각에서는 '약탈적 대출'이라는 주장까지 제기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약탈적 대출’은 금융당국이 매번 강조하고 있는 ‘포용적 금융’을 뒤짚은 동전의 앞·뒷면과 같은 말이니 그 취지는 같은 말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 보면 이를 받아들이는 금융권은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어감 자체가 마치 범죄집단인냥 금융권을 보는 듯한 시선 때문이다.

김 전 원장의 낙마로 금융권은 소통이 되는 신임 원장을 기다리고 있는 분위기이다. 또 금융개혁과 혁신의 강조가 자칫 또 금융권을 약탈적 금융으로 싸잡아 몰아갈까 우려하고 있다. ‘더 센’ 그분이 오실까 내색은 못한 채 노심초사하는 것이다.

시쳇말로 간 사람보다는 오는 사람이 중요하다. 금감원 수장 자리가 사익이 아닌 공익의 자리이기 때문이다.

지나간 과오와 오류를 무조건 덮자는 것은 아니지만 더 나은 방향으로 건설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금감원과 금융위원회도 김 전 원장의 낙마 이후에도 그가 추진했던 '금융개혁'을 계속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서로 만나 금융개혁을 중단 없이 실행하자고 사진을 곁들인 보도자료까지 내며 국민 앞에 다짐했다.

금융개혁을 통해 기존 관행 등 잘못된 부분을 개선하는 것은 타당하다. 폐단이 있다면 없애야 하고, 지금까지 이어진 관행이 부당하다면 바로잡아야 한다.

금융개혁이 필요한 것에 대해 은행 등 금융권 당사자도 수긍하고 있다. 오히려 자신들의 수익 등 이해관계와도 직결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융사는 새로운 상품을 개발하고 싶어도 곳곳에 놓인 규제 올가미 때문에 한 발을 떼기가 여러운 것도 사실이다. 이러다 보니 금융개혁과 금융혁신에 대해 금융당국과 금융사가 각각 받아들이는 온도 차가 존재한다.

결국은 금융개혁과 혁신의 성공은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는 소통에 있을 것이다. ‘갑’인 당국 앞에서 금융권은 낯을 가린 채 ‘예’라고 답할 수 있다. 뒤돌아 서서 다른 소리를 한다면 금융개혁과 혁신은 성공할 수 없다. 실제 개혁과 혁신의 주체가 다름아닌 금융사이기 때문이다.

금융권이 '금융개혁'을 진정성 있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금융 당국은 보다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더 다가가야 한다. 그리고 먼저 변화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신임 금감원장이 기다려진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