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걱정 없는 '금(金)퇴족'···40대 초반에 갈린다
노후 걱정 없는 '금(金)퇴족'···40대 초반에 갈린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나금융 100년 행복연구센터 보고서
평균 자산 1.2억, 연금·펀드 투자 활발
연령대별 금융자산 및 금융상품 보유 비중 (자료=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
연령대별 금융상품 보유 비중 (자료=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은퇴 이후를 대비해 금융자산을 쌓아가는 이른바 '금(金)퇴족'의 평균 금융자산이 1억20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 대상 자산 9000만원보다 35% 많았다.

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9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100년 행복, 금퇴족으로 사는 법' 보고서를 발간했다. 센터는 30~55세 남성을 대상으로, 60세부터 기대여명(남은수명)까지 지금과 같은 소비지출을 유지할 수 있는 케이스를 추출해 분석했다.

우선, 금퇴족의 평균자산은 1억2000만원으로 전체 조사 대상(9000만원)보다 35%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30~34세 6000만원 △35~39세 1억1000만원 △40~44세 2억원 △45~49세 3억2000만원 △50~55세 3억9000만원이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금융자산 규모도 커지는 모습이었다.

금퇴족은 40대부터 두드러지기 시작했다. 40대 초반 금퇴족의 금융자산은 전체보다 1억원 이상 많았다. 30대 후반에서 그 차이가 5000만원인 것에 비해 2배 이상 벌어졌다.

금융상품 구성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금퇴족은 전 연령대에서 펀드·연금·신탁 규모가 전체 보유 금융자산 중 60% 이상을 차지했다. 연금은 국민연금을 제하고 퇴직연금과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판매하는 연금상품을 포함한다. 이는 전체 평균보다 7~15%p 높은 수준이다.

금퇴족의 주식투자 비중은 40~44세, 펀드투자 규모는 45~49세가 가장 높았다. 40~44세 금퇴족은 일반펀드·퇴직연금·연금저축 등을 통해 금융자산 중 15%를 주식에 배분했다. 같은 연령대(6%)와 비교해 9%p 높았고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펀드투자 규모는 평균 5900만원으로 45~49세일 때가 절정이었다. 50대의 펀드잔액도 5800만원으로 40대의 활발한 펀드투자가 50대에도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주택연금)을 보유하고 있다면 금퇴족의 범위는 확대된다. 예를 들어 60세부터 부동산에서 월 65만원을 확보한다고 가정할 경우 50~55세 금퇴족의 보유 금융자산은 3억9000만원에서 2억2000만원으로 줄어들게 된다. 부동산 현금흐름을 고려할 경우 40~44세의 주식투자 비중도 15%에서 8%로 하락하게 된다.

또 현재 소득수준에 따라 금퇴족의 모습도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0~55세 금퇴족의 평균 금융자산은 소득수준에 따라 △1억5000만원(월 300만원 미만) △3억1000만원(월 300만~500만원) △5억1000만원(500만~800만원) △10억6000만원(800만원 이상)까지 차이를 보였다. 소득이 높을수록 소비지출은 증가하지만 국민연금이 일정수준 이하에서 머무는 만큼 직접 마련해야 할 현금흐름이 커지기 때문이다.

조용준 하나금융 100년 행복연구센터장은 "금퇴족은 연금자산 규모가 크고 펀드투자도 활발했다"며 "40대 초반까지 금퇴족이 될 기반을 마련하는 게 이상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연금자산을 지키고 금융투자를 실행하는게 가장 기본적이고 확실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이 우리·하나은행 대상으로 DLF·DLS 사건과 관련해 특별검사에 착수한다. 사진은 하나은행 PB센터. (사진=서울파이낸스)
서울 삼성동에 소재한 하나은행 PB센터. (사진=서울파이낸스)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