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배 동서대 교수 주제발표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금융당국(금융위원회)의 디지털 자본 시장 이해 부족으로 투자자들의 탄소배출권 투자 니즈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블록체인 탄소금융 자본 펀딩이 지체되고 있다."
김홍배 동서대 부산대 교수는 14일 오후 서울 FKI타워 루비홀에서 열린 '제12회 에너지·탄소 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탄소감축을 위한 디지털 자본시장 활용사례’ 주제발표에서 기존 전자증권과 DLT 전자증권(STO)을 구분하고 DLT 자본시장을 블록체인(분산원장)과 스마트컨트랙 기술 기반으로 금융자산 및 실물자산을 토큰화하는 시장으로 정의했다.
김 교수는 증권사 등을 통하지 않고 발행인(기업 등)이 직접 분산원장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는 DLT 증권토큰(STO)의 장점이 있음에도 법 제도가 다른 나라들에 비해 진척이 더뎌 자발적탄소와 기후테크 등 관련 시장을 활성화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STO의 장점으로 스마트계약을 통한 업무 STP(Straight-Through-Process)화로 컴플라이언스, 문서작업, 인증, 거래 등의 업무 일괄처리가 가능함은 물론 발행속도, 비용절감, 데이터 보안성 등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기업들의 자발적 탄소감축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한 자본시장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선진 자본시장들은 탄소감축 재원조달 및 탄소배출권 크레딧을 유동화할수 있는 자본시장을 조성하기 위해 STO 관련법을 마련했고 탄소배출권 증권토큰 시장을 발전시키고 있다”며 “우리 정부도 비정형자산 중 사업 중요도가 높은 탄소배출권의 토큰화를 위한 자본시장법 및 전자증권법 개정 등으로 자발적 탄소배출권 디지털 자산시장을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