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브리지 60주년] 김정희 사무총장 "투명·공정 원칙···민관 협력 구호 강화해야"
[희망브리지 60주년] 김정희 사무총장 "투명·공정 원칙···민관 협력 구호 강화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희망브리지, 60년간 국내 재해·재난 지원 사각지대 메워"
"기부금 사용처·내역 투명하게 공개···모금현황은 아쉬워"
김정희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 사무총장 (사진=전국재해구호협회)
김정희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 사무총장 (사진=전국재해구호협회)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가 6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코로나19 등 사회재난이 발생하고 기후변화 대응 등과 같이 변화한 환경에서 민관 협력이 더 중요해 지고 있습니다."

김정희 희망브리지 사무총장은 5일 기자와 만나 "우리나라는 재난에 대한 대비책이 부족하다. 정부와 민간 구호단체가 협력하는 가운데 국민들도 경각심을 높이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김 사무총장은 "우리나라가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원조를 주는 나라로 발전했지만 아직도 재난이 발생했을 때 100% 피해지원을 해 줄 수 없다"며 "재난과 재해에 대한 대비와 보상이 국가만의 몫인지 조금 달리 생각해봤으면 한다"고 설명했다.

희망브리지는 1959년 태풍 '사라' 피해돕기 모금운동을 계기로 재난·재해로 힘들어하는 이웃을 돕기위해 1961년 전국의 방송사와 신문사, 사회단체가 힘을 모아 설립한 민간 구호단체다. 반세기가 넘는 시간동안 무수히 많은 인도적 지원과 재난 구호활동을 통해 국민들의 아픔을 함께해왔다.

그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 재난이 과거에 비해 더 자주, 아주 큰 스케일로 일어난다"며 "많은 학자들이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 하는데도 당장 내 일이 아니라는 생각에 필요성을 크게 못 느끼고 있다"고 했다.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 설립한 유엔 산하 국제협의체인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가 2014년 채택한 제5차 평가 보고서에는 온실가스 영향으로 2050년 평균 기온이 3.2도 상승하고, 21세기 후반 전세계 해수면은 26~82㎝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바람의 방향이나 세기, 수증기 량 등 환경을 변화시켜 더 잦은 태풍과 집중호우, 가뭄 등 극단적인 재난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김 사무총장은 "인간의 힘으로 최대한의 공학적 노력을 기울였다 해도 이를 넘어서는 재난이 발생하면 국민들은 엄청난 피해를 입게 된다"고 지적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해 54일간 이어진 집중호우다. 국내 17개 지자체 중 15개 지자체가 피해를 입었다. 실제로 부산 동구 초량동 초량 제1지하차도가 침수돼 3명이 사망하는 재해가 발생했다.

기후변화는 산불·코로나19와 같은 사회재난도 가져온다. 봄철 가뭄에 강원도 고성·강원 지역은 산불로 몸살을 앓았다. 고성의 한 주택은 2017년 산불로 다 타버렸는데 2019년 또 산불이 발생해 더 큰 피해가 발행했다. 

이처럼 대규모 피해가 발생하더라도 지자체의 한정된 재원으로 피해 지원은 부족하기만 한 게 현실이다. 그나마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사망 피해시 1000만원, 주택 완파 1300만원, 침수 100만원 등의 지원금을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다.

희망브리지는 재난 발생 직후부터 지자체와 협의해 기부받은 의연금과 물품을 빠르게 풀어 이 같은 사각지대를 메워왔다. 

초량 지하차도 침수 사고 피해자와 고성 주택 화재 피해자는 모두 희망브리지 배분위원들의 빠른 의사결정으로 지원이 이뤄질 수 있었다. 특히 고성 화재의 경우 2017년에는 모금이 잘 이뤄지지 않아 248만원이 지원됐지만 2019년 화재 때는 언론을 통해 소식이 널리 알려지면서 피해지역의 집을 복구 지원할 수 있을만큼 모금액이 지원됐다.

희망브리지는 설립 후 지금까지 누적 1조5000억원 규모의 성금과 5000만점 이상의 물품을 지원해왔다.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 사태 지원에는 약 985억원의 기부금이 모였으며, 현재까지 80%이상이 집행됐다. 희망브리지는 기부금과 기부물품에 대한 집행현황을 홈페이지에 모두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김 사무총장은 "정부의 지원을 1원도 받지 않는 민간 구호단체지만 재해가 발생하면 정부·지자체의 피해집계, 현장조사, 수요조사, 구호지원 등에 항상 협력한다"면서 "기부받은 돈을 허투루 쓰지 않도록 기부자가 낸 기부금이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투명하게 공개·안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10년간 모금현황이 썩 좋지는 않다. 그래서 행정안전부의 훈령만큼 지원이 이뤄지지 못한 경우도 이따금 있었다"며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재해가 발생하면 생명과 재산을 한번에 앗아가기 때문에 누구든 빈민층으로 전락할 수 있다"며 "5000만 국민 중 딱 1000만명만 회원이 돼 주셨으면 한다. 그럼 국민들 스스로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