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카이스트, '초소형 SAR 위성체 사업' 협력
한화시스템-카이스트, '초소형 SAR 위성체 사업' 협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왼쪽)와 권세진 KAIST 인공위성연구소장이 18일 한화시스템 판교사업장에서 '초소형 SAR위성체 사업' 협력을 위한 협약(MOU)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한화시스템)
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왼쪽)와 권세진 KAIST 인공위성연구소장이 18일 한화시스템 판교사업장에서 '초소형 SAR위성체 사업' 협력을 위한 협약(MOU)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한화시스템)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한화시스템은 지난 18일 카이스트(KAIST) 인공위성 연구소(쎄트렉, SaTRec)와 '초소형 합성개구레이다(SAR, 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체 사업' 협력을 위한 협약(MOU)를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SAR는 공중에서 지상이나 해양에 레이다파를 순차적으로 쏜 뒤 레이다파가 굴곡면에 반사돼 돌아오는 미세한 시간차를 순차적으로 합성해 지상 지형도를 만들어내는 레이다 시스템이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협력을 통해 초소형 SAR위성 탑재체·체계종합 기술과 세트렉의 소형위성 분야 기술을 융합해 고해상도 초소형 SAR 위성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또 이미 수차례 우주로 소형위성을 발사한 쎄트렉의 경험을 통해 지상국 관제·수신 등 소형 위성 운영 분야와 우주 인증 분야 역량도 키울 예정이다.

'초소형 SAR위성 체계개발' 사업은 고해상도 초소형 SAR 위성체와 운용 지상국 등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향후 초소형 SAR위성이 운용되면 한반도와 주변 지역에 대한 전천후 영상 정보 수집을 통해 이상기후에 따른 재난재해 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군 정찰위성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화시스템이 개발한 초소형 SAR위성은 일반위성과 달리 SAR 탑제체와 본체, 태양전지판이 일체화된 얇은 직육면체 형태다. 하나의 발사체에 최대한 많이 실을 수 있어 발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SAR의 핵심인 AESA레이다와 같은 최첨단 레이다에 적용되는 반도체 송수신 모듈을 활용해 초경량·고효율 능동위상배열안테나를 적용했다. 현재 1m급 수준의 고해상도 관측 모드와 넓은 영상 획득이 가능한 광역 관측 모드까지 제공하고 있다.

권세진 KAIST 인공위성 연구소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 우주개발의 패러다임 체인지를 선도하고, 미래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어성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는 "초소형 SAR위성은 감시정찰 자산으로 매우 높은 가치를 인정받으며 주목받고 있다"며 "한화시스템은 위성분야 연구개발(R&D)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나가며 초고해상도 초소형 SAR 위성 국산화 성공을 위해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시스템이 개발중인 초소형(SAR) 위성 (사진=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이 개발중인 초소형(SAR) 위성 (사진=한화시스템)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