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파이낸스 (수원) 송지순 기자] 경기도 평화경제실현을 위한 전략사업을 제안한 보고서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경기도 평화경제실현을 위한 기본구상'을 발간하고 평화경제의 개념과 현 상황에 주는 시사점, 경기도가 수행할 필요가 있는 세부 사업내용을 담았다.
보고서는 경기도 평화경제실현을 위한 전략사업을 경색기(평화기반조성 사업)와 경제제재 해제 후 교류활성화기, 교류성숙기로 구분하고 세부 내용을 담았다.
경색기에는 평화경제특구를 조성·확대하고 평화통일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평화경제특구는 단기적으로는 경기북부 지역의 신성장거점으로, 중장기적으로는 국제평화자유지대의 중심으로, 장기적으로는 국제시장 확대를 고려한 경기도 지역의 역할과 기능을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류활성화기에는 농업생산을 효율화하고 기술을 이전한다. 우량종자를 보급하고 북한 종자은행 설립 등 인프라를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역단위를 대상으로 한 종합개발협력사업도 이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교류성숙기에는 국제무역체제 편입을 지원하고 금융역량을 강화한다. 북한의 국제무역시장 편입을 위해 장기적으로는 WTO 가입이 필수인 만큼 이를 위한 기술적 컨설팅과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대적 금융서비스를 담당할 금융기관을 설립하고 관련 교육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조성택 경기북부특별자치도연구센터장은 "한반도 주도권 확보를 위해 경색국면인 현 상황에서도 평화 기반 조성이 필요하며, 남북 화해 국면 전환 시 적극적인 경제협력을 추진해야 한다"며 "이제는 조건부·상호주의적 대북정책보다 국력에 상응하는 포용적 접근을 고민할 때"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