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IB, 美 재정절벽에 '벌벌'…"세율인상 반대"
해외IB, 美 재정절벽에 '벌벌'…"세율인상 반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한수연기자] 미국 재정절벽에 대한 우려가 여전한 가운데 해외IB(투자은행)들이 세율인상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 재정절벽 규모의 75%가 세율인상과 관련돼 있기 때문이다.

20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최근 해외IB들은 미국 재정절벽 우려감을 잇달아 공식적으로 표명하고 있다. 재정절벽이 현실화될 경우 내년 미국경제와 금융시장은 큰 폭으로 위축될 것이란 전망이다.

세계 최대 IB인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지난주 "이미 미국 경제에 기업주문 지연, 추가지출 억제 등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는 정책적 불확실성에 따른 내년 상반기 실물경기 및 경영환경 악화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고서를 통해 지적했다.

영국의 경제정보평가기관인 옥스퍼드 애널리티카(Oxford Analytica) 역시 "재정절벽이 현실화될 경우 가계소비 및 공공지출 감소, 기업투자 위축 지속 등으로 내년 상반기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감을 나타냈다.

이들은 부시 감세안 연장을 재정절벽 협상의 관건으로 보고 있다. 현재 미국 재정절벽 규모의 75%가 세율인상과 관련돼서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간(JPMorgan)은 지난주 부시 감세안 연장 문제가 미국 재정절벽 협상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JP모간은 "재정절벽 규모(약 6000억 달러 VS CBO 약 6500억 달러)의 75%가 세율인상에 관한 것"이라며 "연말까지 부시 감세안 연장 합의에 실패한다면, 전체적인 재정절벽 우려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옥스퍼드 애널리티카는 "부시 감세안이 종료될 경우, 저소득층 및 중산층의 소득세는 1500억 달러, 고소득층 소득세는 600억 달러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세율인상에 대한 해외IB들의 입장은 부정적이다. 배당소득세율 및 자본이득세율의 인상이 금융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다.

골드만삭스는 "부시 감세안의 추가 연장이 없을 경우 장기투자 자본이득세율은 현 15%에서 내년 20%로, 최고 배당소득세율은 39.8%로 인상될 것"이라면서도 과거 사례를 들며 증시 악영향에 대한 우려감을 나타냈다. 실제 지난 1970년과 1987년 자본이득세율을 각각 9%p, 8%p 인상하면서, 투자자들이 미리 이익을 실현하자, 1969년과 1986년 12월 S&P 지수는 각각 1.9%, 2.8% 하락했었다.

JP모간은 "배당소득세율 및 자본이득세율 인상에도 공화당이 반대할지 여부는 아직 불확실하지만 그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세율인상의 재정적자 개선효과는 미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