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ICT산업, 규모의 경제 확보 시급"
"국내 ICT산업, 규모의 경제 확보 시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문지훈기자] ICT(정보통신기술)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시급한 과제로 각각 부품·소재의 국산화율 제고와 해외진출 확대를 통한 규모의 경제확보가 꼽혔다.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8일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ICT 산업 파급효과 제고 방향' 보고서를 발간하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ICT 제조업은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만 일본의 값비싼 부품과 소재에 의존하는 생산기술 구조를 지니고 있어 경제 전반에 대한 파급효과가 떨어진다. 보고서는 55%에 불과한 고부가가치 중간재의 국산화율을 5%포인트만 높여도 6만3000명의 고용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현대자동차의 상시종업원 수 6만1000명을 넘는 규모다.

또한 보고서는 내수를 중심으로 발전해온 ICT 서비스업의 경우 해외진출 확대를 통한 총산출 증가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ICT 서비스업은 단위생산대비 부가가치, 고용 등에 대한 파급효과가 크지만 한정된 내수시장에만 치중해 국내 경제에 대한 기여도가 미진한 상황이다.

보고서는 해외시장 개척을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을 위해서는 글로벌역량을 갖춘 인력을 양성해 아시아개발은행 등 국제금융‧개발기관이 개도국에서 추진하는 ICT 인프라 사업에 적극 참여하는 것 등을 주요해법으로 제시했다.

수은 관계자는 "제2~3의 '보고타시 프로젝트'가 나올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선진 금융솔루션을 제공해 ICT 산업, 나아가 창조산업 전반의 해외진출에 금융디딤돌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