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금융 활성화, 표준 모델 및 정부 지원 필요"
"기술금융 활성화, 표준 모델 및 정부 지원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硏-금융위 기술평가·기술금융 공개세미나
신제윤 위원장 "시스템 구축 방안 마련할 것"

[서울파이낸스 채선희기자] 기술금융 활성화를 위해서는 표준 기술평가모델이 개발돼야 하며, 정부의 위험 분담 지원을 바탕으로 금융기관의 기술평가 비용을 낮춰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2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금융위원회·한국금융연구원 주최 '기술평가·기술금융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공개세미나'에 참석한 임형준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이같이 밝히며 "이를 바탕으로 금융기관이 자체적인 기술평가역량을 강화시키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술금융은 기술집약적 기업의 창업에서부터 성장에 이르기까지 소요되는 자금을 공급하는 금융지원을 의미한다. 현재 기술금융시장은 벤처캐피털에 의한 투자와 은행 등 금융중개기관을 위한 융자로 구분돼 있다.

임 연구원은 특히 시중은행이 빠른 시간에 적은 비용으로 기술평가 역량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기술평가를 활용한 금융기관 대출을 활성화하기 위해선 관련 시장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기술평가 대출의 신용위험이 분담돼야 하고 기술평가 비용의 정부 보조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황규민 산업은행 기술평가부장은 "금융기관에 업종별·성장단계별로 표준화된 기술평가 모델이 필요하다"며 "금융기관 기술평가 활성화 과정에서는 정부의 인센티브 부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기술중심의 금융환경 구축을 위해선 은행이 기술금융상품을 취급하도록 정부의 정책적 인센티브, 즉 △기술금융 재원 조달 지원 △정책자금 우선 배정 △평가비용부담 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신제윤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향후 '기술금융 활성화를 위한 기술평가시스템 구축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신 위원장은 "기술정보를 생산·관리·축적하는 공공재적 '테크 뷰로(Tech Bureau)'를 구축하고 맞춤형 기술정보를 제공하는 전문 기술평가기관 설립, 금융기관 여신·투자 의사결정에 평가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방안 등을 중심으로 고민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