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생산성 3배' 자동용접장치 개발
대우조선해양, '생산성 3배' 자동용접장치 개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대우조선해양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위빙 SAW 용접장치의 시험용접 모습. (사진=대우조선해양)
[서울파이낸스 이은선기자] 대우조선해양이 후판 용접 생산성을 3배 이상 증가시키는 신개념 자동 용접장치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대우조선해양 산업기술연구소 산하 용접기술연구 그룹은 15일 기존의 용접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위빙 SAW 용접장치'를 개발해 옥포조선소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위빙이란 용접봉을 용접 진행방향에 대해 좌우로 번갈아 움직이면서 용접하는 운봉 방식을 의미하며, SAW(Submerged Arc Welding)는 판재끼리 용접 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용접법이다.

통상 선박 블록 조립 시 두 철판을 하나로 붙이는 용접작업에서는 용접기를 고정시키고 대상이 되는 부분을 여러 번 용접함으로써 하나로 이어주는 방식을 사용해 왔다. 이 경우 작업 속도도 느리고 숙달된 용접공이 아닌 경우 용접 품질이 균일하지 않아 불량률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우조선해양에 따르면 이번에 개발된 위빙 SAW 용접장치는 용접기와 자동 모터, 와이어 등을 결합시켜 용접봉을 좌우로 반복해 움직이면서 대상이 되는 부분을 골고루 용접할 수 있어 용접 시간과 횟수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동시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고품질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도 가능하다.

기존방식으로 두께 80mm의 선박 블록을 용접할 경우 40회 이상의 용접 작업을 필요로 했지만, 위빙 용접장치를 사용하면 단 8회만 작업해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용접횟수 감소는 용접변형을 원천적으로 감소시켜 판 두께가 두꺼울수록 어려웠던 용접변형 교정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위빙 SAW 용접장치는 휴대성도 뛰어나 조선소 공장 뿐 아니라 건조 중인 선박 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대우조선해양이 옥포조선소에서 건조 중인 세계 최대 플랫폼 설치·해체선에 이 장치와 기술을 승인 받아 적용한 결과, 두께 150mm 후판 용접의 생산성이 최소 3배 이상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우조선해양은 이 장치의 적용으로 매년 37억 원에 달하는 생산시수 절감 효과와 함께 용접 불량률 감소, 제품 품질향상 등 다양한 유·무형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위빙 용접장치는 그 특성상 철판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효율이 높아진다"며 "18,000TEU 컨테이너선, 초대형 해양플랜트처럼 조선해양 제품들의 대형화가 이뤄지는 상황에서 위빙 SAW 용접장치와 기술은 현장 트렌드에 맞춘 고효율의 생산 장비"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