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韓 성장률 전망치 3.0%로 하향…"2%대 가능성"
KDI, 韓 성장률 전망치 3.0%로 하향…"2%대 가능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이은선기자]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로 하향했다. 구조개혁과 올바른 재정 및 통화정책이 뒷받침되지 못할 경우 2%대 성장률로 내려앉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KDI는 20일 '2015 상반기 경제전망'을 내고 올해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3.0%로 전망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12월에 발표한 KDI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3.5%)대비 0.5%p나 내려잡은 것이다. 이는 한국은행의 4월 수정전망치(3.1%)나 기획재정부의 지난해 12월 전망치인 3.8%를 밑도는 수준이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3.1%로 제시됐다.

KDI에 따르면 최근 내수 부진이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있지만 우리 경제 전반의 성장세는 약해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은 2.3%로 전년(1.8%)대비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내수는 투자를 중심으로 점차 개선될 가능성이 점쳐졌다. 설비투자 증가율은 5.1%로 전년보다 축소되겠으나 건설투자(2.9%)와 지식재산생산물투자(4.7%)는 증가세가 확대될 것이란 관측이다.

물량 기준 총수입은 전년(2.1%)보다 0.5%p 늘어난 2.6%로 설정됐으나, 총수출의 경우 지난해 기록했던 2.8% 증가율에서 큰 폭 둔화된 1.1%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의 경우 올 2분기 0.3%에서 3분기 0.4%, 4분기 0.8%로 회복해 연간 기준으로 0.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실업률 예상치 역시 3.6%를 기록한 전년과 보합세 수준으로 설정됐다.

다만, KDI는 우리 경제에 '상당한 하방위험'이 있다고 우려하며 "구조개혁 정책이 원활하게 추진되지 못하거나 통화 및 재정정책이 제대로 실현되지 않을 경우 올해 우리경제 성장률은 2%대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KDI 측은 "우리 경제는 단기적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으나 지속가능한 성장을 저해하는 구조적 요인들이 누적되고 있다"며 "향후 경제정책은 단기적인 경기대응과 함께 중장기적인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구조개혁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자료=한국개발연구원(KDI)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