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요금제, 시장경쟁 활성화 효과 '글쎄'
데이터 요금제, 시장경쟁 활성화 효과 '글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박진형기자] 데이터 중심 요금제가 당초 기대와 달리 이동통신사간 요금 인하 경쟁을 유발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통 3사가 월정액요금 및 기본 제공 데이터량을 거의 비슷하게 설정해 소비자가 타사로 번호이동할 유인이 거의 없다는 설명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4일 기준, SK텔레콤의 데이터 요금제 가입자는 200만명을 넘어섰으며, KT는 약 91만명, LG유플러스는 약 70만명을 각각 기록해 전체 가입자는 361만명으로 추산된다.

데이터 요금제가 이통사 선택의 기준으로 작용했다면 SK텔레콤의 가입자가 급증한 만큼 같은 기간 KT나 LG유플러스에서 SK텔레콤으로 번호를 이동한 사람도 늘어나야 한다.

SK텔레콤 가입자는 데이터 요금제를 출시한 지난달 20일 313명이 순증한 바 있다. 올해 3월 26일 이후 57일 만에 처음 가입자가 순증한 것이기에 데이터 요금제 출시에 따른 효과에 이목이 쏠렸다. 일각에선 올해 2월 시장점유율 50%선이 붕괴된 SK텔레콤이 데이터 요금제를 등에 업고 재도약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했다.

그러나 실상을 달랐다. 지난 1일부터 24일까지 SK텔레콤 가입자는 5419명 순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T 가입자가 2031명, LG유플러스 가입자가 3388명 각각 순증한 것과 상반되는 결과다.

요금제가 비슷해 시장 활성화라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SK텔레콤 가입자는 요금제 출시 후 총 8일간 늘어나지만, 이달 중순에 들어선 계속해서 순감을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통3사의 데이터 요금제가 비슷해 요금 경쟁으로 이어지지 못했고 시장 활성화 효과도 제한적"이라며 "불법 지원금을 살포해 가입자를 빼앗는 등 구태만 반복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