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콤 노조 "거래소 지주사 전환…IT사업 독립성 유지돼야"
코스콤 노조 "거래소 지주사 전환…IT사업 독립성 유지돼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고은빛기자] 한국거래소의 지주회사 개편을 앞두고 거래소가 IT 모든 분야를 총괄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는 만큼 코스콤이 자칫 하청업체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코스콤 노조는 정연대 사장 및 임원진이 IT 사업 유지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촉구했다.

지난 21일 코스콤 본사에서 만난 송재원 코스콤 노조위원장은 "거래소 지주회사 개편 관련해서 한 여당의원을 만났는데 '왜 노조가 이런 데 나서고 있냐'며 사장을 불러오라고 하는 얘기까지 들었다"며 "이제 노조가 나서기보다 정연대 사장이나 임원진이 적극적으로 의견 개진에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국정감사가 진행될 때만 해도 이진복 새누리당 의원이 발의한 '거래소 지주회사 개편 법안' 연내 통과가 불투명했지만, 다음주부터 정무위원회 법안심사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본격적인 법안심사는 다음달 3일부터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노조는 지주회사 개편 방안에 대한 법안심사 과정에서 코스콤에 대한 IT사업 유지 부분이 반영되길 바라고 있다. 무엇보다 코스콤의 설립 취지인 자본시장 내 IT 분야 통합관리라는 점에서 어긋나고, 한국거래소와 연관있는 사업이 20% 정도인 만큼 그간 코스콤이 해오던 IT 사업을 거래소가 전담하기엔 안정성이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1977년 당시 재정경제부의 거래소 내 증권전산실 설치 지시에 따라 설립됐다. 2003년 재경부 증권선물 선진화계획 발표에 따라 전산은 코스콤 중심으로 통합키로 돼 있었으나 본안대로 이행은 되지 않았다. 2005년 통합거래소가 출범했고, 2009년 Exture 가동후 IT 자산관리 주체가 거래소로 변경됐다.

2010년 거래소 요구에 따라 정보시스템 소유권을 거래소로 이전하고, IT는 코스콤 중심으로 조정했다. 거래소 IT인원 12명이 코스콤으로 이동하면서 인력 및 조직을 축소키로 했다. 송 위원장은 "당시 양측 사장과 노조위원장이 사인을 했지만 해당 사항은 지켜지고 있지 않다"며 "이런 전례가 있는 만큼 최경수 이사장의 '코스콤은 아무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구두약속을 믿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IT부문을 보편적인 업무로 취급하고 있는 금융당국에 대한 서운함도 드러냈다. 송 위원장은 "지난해 금융보안원 설립 당시 코스콤만 할 수 있는 영역이었던 만큼 사업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내부에서 높았다"며 "그러나 인력과 기계 및 기술이 코스콤에서 빠져나갔는데도 당국은 IT를 전문적인 업무라기 보다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업무로 판단하고 있는 듯 하다"고 밝혔다.

향후, 거래소가 모든 IT부문을 지주회사에 두게 되면 자본시장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았다. IFRS(국제회계기준)의 경우도 한 곳에서 시스템을 개발해 다 적용하자는 금융투자업계의 요구도 많았지만, 비용이나 여러 제반사항 등의 이유로 코스콤이 나서지 못하면서 모든 기관이 개발에 나선 만큼 비용이 더 들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현재 코스콤이 제공하는 복구센터,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대부분의 증권사 및 금융투자업계가 이용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의 외국인 한도관리 업무는 코스콤이 맡고 있다. 외국계자산운용사가 우리나라에 사업승인을 받고 난 다음날부터 주식, 채권 등 주문을 바로 낼 수 있는 건 코스콤의 시스템 덕분이다.

그간의 IT관련 금융기관이 설립된 사례처럼 IT 조직을 독립시켜 관리 조직간의 분리가 이뤄지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송 위원장은 "금융결제원의 경우 회원조합들이 출자해서 만들어졌고, 한국은행 산하에 있지만 완벽하게 분리돼 있는 형태"라며 "자본시장도 그런 조직이 필요하고 관리 및 감독이 분리돼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코스콤은 핀테크를 중심으로 자본시장 IT분야 내에서 입지를 다져나가고 있다. 최근 코스콤은 미래에셋과 200억원 규모로 국내 첫 핀테크 펀드를 조성, 핀테크 기업 발굴 및 육성에 나서면서 신성장 동력으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