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옐런 "7년 만의 '비정상' 종료…경제 자신감 신호"
[美 금리인상] 옐런 "7년 만의 '비정상' 종료…경제 자신감 신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향후 인상 점진적…물가 상승 부진 시 추가 인상 유보"

[서울파이낸스 이은선기자] 미국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7년 동안 유지했던 제로금리를 종료했다. 2006년 6월 이후 첫 금리 인상이다. 시장이 주목했던 향후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해서는 '점진적' 속도 방침을 재확인했다. 재닛 옐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물가가 향후 예상대로 움직이지 않을 경우 추가 인상이 유보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미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를 현재의 제로금리(0.00%~0.25%)에서 0.25%~0.50%로 0.25%p 올리기로 결정했다고 16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참석 위원 10명 만장일치로 결정됐다.

연준은 성명을 통해 "올해 고용 여건이 상당히 개선됐고 물가가 중기목표치인 2%로 오를 것이라는 합리적 확신이 있다"며 "물가가 2%에 못미치는 상황에서 위원회는 인플레 목표를 향한 진척 상황을 신중히 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경제 연건이 기준금리의 점진적 인상을 뒷받침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옐런 의장도 FOMC 이후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금리 인상은 지난 7년간의 비정상 시기의 종료를 의미한다"며 "금리 인상의 의미를 지나치게 부풀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기저의 경제체질이 꽤 양호하다"면서 "이번 금리인상은 (미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의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이번 금리 인상은 선제적이고 방어적인 조치라면서 "금리 인상을 미루면 향후 급작스럽게 긴축을 단행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제로 금리 수준의 유지는 "경기 침체에 맞설 무기를 지닐 수 없게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향후 금리 인상 계획에 대해서는 '점진적' 방침을 확인했다. 성명서는 "이번 인상 후에도 통화정책은 시장 순응적으로 남을 것"이라며 "현재 경제상황을 고려할 때 금리는 점진적으로 올리는 것만 가능하고 당분간 장기적으로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수준보다 낮게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명시했다.

옐런 의장은 "(금리 결정의 핵심 기준 가운데 하나인) 장기 물가전망이 안정적"이라며 금리 인상 배경을 설명한 뒤 "다만 앞으로 물가가 예상대로 움직이지 않으면 추가 인상은 유보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향후 물가 동향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