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 "기준금리 곧바로 인상 안할 것"
이주열 총재 "기준금리 곧바로 인상 안할 것"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 물가목표, 중기적 지향점일 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경제동향 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이은선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과 최근 새로 수립된 2%의 물가 목표 달성을 둘러싸고 제기되는 인상·인하론을 언급하며 '중립적' 입장을 재확인했다. 연준의 금리 인상에 대해서는 향후에도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이 지속될 것인 만큼 그 여파에 대한 경계감을 드러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23일 한은 본관에서 '12월 경제동향간담회' 모두발언을 통해 "국내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내년에도 지속될 것을 고려하면 앞으로 통화정책은 거시경제 상황과 금융안정 리스크를 함께 유의해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이 총재는 "지난주 미 연준이 시장 예상대로 7년간 유지해온 제로금리에서 벗어나 통화정책 정상화에 첫발을 내디뎠다"며 "이에 맞춰 일부 언론사에서 발표한 향후 통화정책방향 관련 서베이를 살펴보니 동결 예상과 함께 인상 또는 인하로 상반된 기대가 있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금리 인하 의견에는 앞으로의 경제 상황 판단과 새롭게 산정한 물가안정목표가 배경이 됐다"며 "2%라는 단일목표는 중기적시계로 지향할 목표 수준이지 단기 달성 목표는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이어 "대다수 국가의 물가안정목표제도 같은 개념 하에 운영되고 있다"고 부연했다.

금리 인상 전망의 논거로 제시된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해서는 "미 금리 인상이 금리 결정에 중요한 요소인 것은 분명하다"면서도 "곧바로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상하는 것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미국 금리 인상 이후 금융시장 반응에 대해서는 "다행히 안정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후 단행된 무디스의 한국 국가신용등급 상향 조정을 언급하면서 우리 금융시장이 여타 신흥국과 차별화되고 있음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그는 "그렇다고 연준의 금리 인상이 일회성은 아닌 만큼 경계를 늦출 수는 없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 총재는 "특히 전례가 없었던 양적완화, 제로금리가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앞으로 국제자금의 흐름이라든지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유가도 하락압력을 받고 있는 등 글로벌 경제 리스크가 적지 않게 잠재돼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각별히 유념해야 할 것"이라고 경계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