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비정규직 전환 논의 '급물살'
은행권 비정규직 전환 논의 '급물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이어 국민銀-신한등도 검토중
우리은행에 이어 국민은행 노사도 비정규직 직원의 정규전환에 원칙적으로 합의를 했다. 2분기중이며, 8천명에 달하는 비정규직 전원을 대상로 한다.
이에따라, 비정규직 문제를 놓고 고심중인 타은행들로 어떤 식으로든 비정규직 정상화 문제 해결에 속속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와관련, 다른 은행들도 '우리은행 사례'를 기본으로 하는 해법을 찾고 있고, 금융노조도 이를 적극 권장하고 있어 우리은행이 비정규직 해결의 전형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이 같은 은행들의 선도적인 역할로 우리사회 노사관계의 핵심쟁점중 하나인 비정규직 문제가 실마리를 찾아가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이와관련, 신한은행 노사도 비정규직 직원 일부를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문제를 협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은행도 전체 2700명의 비정규직 직원 가운데 일부를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신한은행 노조는 "정규직과 동일한 노동에 종사하는 700명 가량의 비정규직 직원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문제를 경영진과 논의하고 있다"며 "다만 업무 영역이 정규직과 완전히 다른 비정규직 직원들까지 당장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것은 힘들 것 같다"는 입장이다.

한편, 양원모 국민은행 노조위원장은 9일 "노사가 각각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관련한 세부 방안을 만들어 올 2분기 중 최종 합의를 보기로 했다"고 밝혔다.
양 위원장은 "큰 틀에서는 우리은행의 비정규직 전환 모델을 받아들이기로 노사간에 의견 일치를 본 상태"라고 덧붙였다.
 
국민은행 사측도 "비정규직의 임금을 얼마만큼 높여줄 것인가와 관련해선 조금 더 논의가 필요하지만, 복리후생과 고용 문제에선 노조와 큰 이견이 없다"며 "이른 시일 안에 회사 방안을 만들어 노조와 협의에 나설 것"이라고 확인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12월20일 노사 합의를 거쳐 올 3월부터 비정규직 3100명 전원의 고용을 보장하고 복리후생에서도 정규직과 똑같은 대우를 해주기로 했다. 단, 임금 체계만 정규직과 달리 적용할 방침이다.

한편, 김동만 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어 "올해 공동 임금 단체협상에서는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협상에 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다만 분리직군제가 차별을 고착화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해결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남지연 기자 lamanua@seoulfn.com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