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정보사 불황 타개책 찾기 '고심'
신용정보사 불황 타개책 찾기 '고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실채권 고갈에 따른 매출액 감소
 
[서울파이낸스 이광호 기자]<lkhhtl@seoulfn.com>신용정보사들이 불황의 터널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러나 신용정보업계에 대한 정부의 각종 규제가 강화되는 등 지난 8월 한나라당 박계동 의원을 축으로 한 '채권추심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안'이 조만간 다시 발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신용정보사들이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업친데 덮친격으로 시장의 자산건전성이 강화되면서 신용정보업계의 최대 수익원인 부실채권 시장 또한 점차적인 고갈이 예상돼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10일 신용정보협회에 따르면 지난 2005년 신용정보사들이 채권추심으로 올린 매출액은 9000여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의 경우 7000억여원으로 떨어졌으며, 올해도 매출액은 1000억원 가량 감소한 5500~6000억원선으로 지난해 수준에 비해 크게 못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채권추심업무를 부대업무로 영위하고 있는 정부출연기관 3개사를 제회하면 민간 신용정보회사의 수는 30여개에 달한다.
채권추심회사가 24개로 다수를 점하고 있으며, 종합신용정보회사가 5개, CB회사가 3개이다.
채권추심회사는 외환위기(IMF) 이후 채권추심회사 설립 허용 및 설립요건 완화에 힘입어 1997년말 12개였던 채권추심회사는 지난해 33개로 크게 증가했다.
외환위기(IMF) 이후 증가한 신용정보사의 과당경쟁으로 인해 치열한 경쟁이 계속돼 왔다.
호황을 누렸던 신용정보사들은 부실채권의 고갈로 불황을 맞으며 주춤했고, 이에 자기자본금 기준에 미달한 신용정보사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 9월 금융감독위원회는 한성신용정보에 대해 허가를 취소했다. 한성신용정보는 2005년과 2006년회계연도의 자기자본이 각각 13억9000만원, 6억9000만원으로 2년 연속 자본금 요건 15억원에 미달했기 때문이다.
이렇듯 신용정보사들은 시장의 약화가 불가피한 만큼 자구책을 마련하는데 부심하고 있다.
고려신용정보는 매출증대를 위해 내년도 사업계획서가 확정되는 연말부터 불필요한 지점에 대해 축소·폐쇄를 하는 등 인력 축소를 단행할 계획이다.
또한 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조직의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TRS(파워텔)을 통해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방침이다.
고려신용정보 관계자는 "업무 특성상 개인의 신용정보를 다루기 때문에 긴박한 사항이 빈번하게 발생하곤 하는데, 이 경우에도 TRS 단말기를 통해 직원간 긴급한 연결이 가능해져 큰 도움을 받고 있다"며 "앞으로 단말기를 통해 정기적인 교육과 채권추심 모범사례를 좀 더 편리하게 전달해 민원예방과 고객관리에 만전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호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