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항공기 1백만대 운항 환경조성"···국토부, 4766억원 투자
"2025년 항공기 1백만대 운항 환경조성"···국토부, 4766억원 투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1차 항행안전시설 발전 기본계획 확정
대한항공 항공기. (사진=대한항공)
대한항공 항공기. (사진=대한항공)

[서울파이낸스 주진희 기자] 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4766억원을 투자해 초정밀 항행시스템을 개발하고 첨단 정보통신기술(ICT)를 적용한 미래형 원격관제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이를 통해 항공기 100만대 운항이 가능한 항행안전 환경을 조성해 포스트 코로나 항공교통 시대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제1차 항행안전시설 발전 기본계획'을 마련해 항공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했다고 3일 밝혔다.

항행안전시설은 통신, 인공위성, 불빛, 전파 등을 이용해 항공기 이착륙 등 운항에 필요한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핵심 안전시설이다. 현재 국내에는 총 32종, 2761대가 운영되고 있다.

한국과 같은 좁은 영공에서 증가하는 항공교통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첨단 항행안전시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 국토부는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연간 84만대 수준이던 항공교통량이 2025년까지 100만대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 이에 대비하기 위한 항행안전시설 고도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첨단 항행시스템 개발 구축 및 항행안전시설 확충·현대화 등 4대 전략과 16개 단위과제, 105개 세부 사업을 규정한 1차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먼저 위치정보 오차를 3m 이내로 줄인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ASS)'의 개발을 추진, 내년 말부터 대국민 공개 시범서비스를 시행하고 2023년부터 항공용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항행안전시설의 역할. (제공=국토교통부)
항행안전시설의 역할. (제공=국토교통부)

또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디지털 트윈 등 첨단 ICT을 관제시스템에 적용한 미래형 원격관제시스템을 구축한다. 올해부터 관제탑 통합모니터 등 인천공항 계류장에 우선 적용하고 도서 지역 소형공항(울릉·흑산공항) 등에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기존 항공기와 도심항공교통(UAM)을 안전하게 분리하는 교통관리체계 마련을 위해 비행관리 드론탐지 기술 개발 등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신설된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의 최고 운영등급 확보를 위해 공항감시시설 확충에도 나선다. 지방공항의 노후 계기착륙시설도 최신 성능이 도입된 시설로 교체하고 이를 점검할 수 있는 최신 비행검사시스템과 항공기를 도입한다. ICT 기술 등을 활용한 첨단 항로 및 접근관제 시스템을 구축해 관제 효율성도 높인다.

유·무인 항공기가 안전하고 조화롭게 항행할 수 있도록 주파수 지정 등 무인기 원격조종시스템 기술의 표준화도 시행한다.

지난 2009년부터 국내 연구·개발(R&D)을 추진해 성과를 냈던 '항행안전 시설의 성능'을 고도화해 해외 진출을 추진하는 한편, 세계 최초로 소형화에 성공해 드론에 탑재한 비행점검 시스템의 패키지 수출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항행안전시설 투자재원 확충을 위해 항행안전시설 사용료 징수 개편도 추진한다. 항공 수요 회복 시기와 국제기준 등을 고려해 현행 정액(국제선 도착 23만원·통과 16만원) 방식에서 중량과 운항 거리에 따른 산정방식으로 바꾸기로 했다.

보안기술이 발달한 만큼 항공정보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해 항공교통 예측 시뮬레이션, 항공장애 예방 등 다양한 활용을 장려한다.

김용석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세계 각국이 항행안전시설 고도화와 세계 표준 선점을 위한 기술 경쟁에 나선 상황"이라며 "기본계획 이행을 위한 전담조직(TF) 구성, 법적 근거 마련 등 세부 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박경규 2021-11-04 09:49:04
XR 기반의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 구축과 비지니스 확대방안 세미나 안내입니다.
주최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 일시 : 2021년 12월 3일 , 장소 : 전경련회관
https://www.kecft.or.kr/shop/item20.php?it_id=1633679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