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부실징후기업 158개사 '21%↓'···금융지원·실적개선
코로나 이후 부실징후기업 158개사 '21%↓'···금융지원·실적개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속가공 업종 최다 비중···금융권 신용공여액 1.3조 
자료=금융감독원
자료=금융감독원

[서울파이낸스 남궁영진 기자]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나 회생절차 등 구조조정에 들어가는 부실징후기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기연장·상환유예 등 유동성 지원 조치와 기업 실적 개선 등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1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1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및 향후 계획'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160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 지난해(157개사)와 비교해 3사 증가한 수준이다. C등급은 79개사로 13사 증가한 반면, D등급은 81개사로 10사 감소했다. 

신용위험평가는 채권은행들이 부실 가능성이 있는 대기업 및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재무 위험성과 경영 부실 정도를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분류 등급은 △정상적인 영업이 가능한 A등급 △외부환경 악화 시 부실징후 가능성이 있는 B등급 △부실징후기업이고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C등급 △부실징후기업이고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D등급 등 총 네 단계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B등급으로 결정된 기업은 신속 금융 지원 프로그램의 대상이 되고, C~D등급은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 등에 들어가게 된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코로나19 이후 부실징후기업 수는 평균 158개사다. 이전 3년(평균 200개)과 비교해 21% 감소했다. 이는 D등급 업체 수가 138개에서 86개로 37.7% 줄어든 데 주로 기인했다. 

대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 부실징후 기업은 1사 감소한 3사로 나타났다. 지난 2016년 32사였지만, 꾸준히 감소하면서 3년째 한 자릿수를 유지했다. 다만 중소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미만)은 4사 증가한 157사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부실징후기업 수의 감소는 유동성 지원 조치와 기업 실적개선 등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 등으로 기업 자금사정이 개선되면서 연체율은 최저 수준이고, 회생신청도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업황 개선·수출 증가세 등이 확연해지면서 기업실적도 코로나 이전 수준을 크게 상회했다. 지난 13일 기준, 수출 규모는 연간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고, 1~9월 상장기업 영업이익(90조원)도 2019년(51조3000억원) 대비 38조7000억원(75.4%) 급증했다.

부실징후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금속가공(21개사)로 가장 많았고, △기계장비(17개사) △자동차부품(16개사)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들 모두 전년보다 소폭 증가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1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보다 1조원 줄었다. 이중 은행권이 8000억원으로 61.5%를 차지했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 충당금 추가 적립액은 약 1124억원으로 추정되고, 자기자본비율(BIS)비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9월 말 기준, 국내은행 BIS는 15.9%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실징후기업 중 워크아웃을 신청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자구계획 수립·이행 및 채권단 금융지원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워크아웃·회생절차를 신청하지 않는 기업은 채권은행이 사후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부실징후기업은 아니지만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정상 중소기업에 대해선 채권은행이 신속금융지원·프리워크아웃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