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FP'(기술평가)도입 ‘기대반 우려반’
금융권, ‘FP'(기술평가)도입 ‘기대반 우려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경부, “잘못된 하도급 관행 고치기 위해 추진”
금융권, “업체별 FP산정 기준부터 통일시켜야”

[서울파이낸스 이상균 기자] <philip1681@seoulfn.com> 지식경제부가 공공시장을 중심으로 FP(기술평가) 도입과 원격지 개발의 확산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금융권에서는 그 효과에 대해 ‘반신반의’하고 있다. FP를 산정하는 기준이 업체별로 다르고, IT서비스 업체들의 프로젝트 수행 능력이 여전히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금융시장은 IT업계에서 공공시장과 함께 가장 큰 규모를 지니고 있는 곳이다. 지경부가 공공시장 이외에 민간 시장에 FP 도입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금융시장의 FP 확산 여부가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그 작업이 순탄치 않아 보인다.

최근 지경부는 SW(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FP 도입이 필수적이란 메시지를 잇달아 보내고 있다. 지경부 성장동력실 소프트웨어산업과 김동혁 과장은 지난달 24일 제1차 IT서비스 혁신포럼과 지난달 29일 IT서비스산업협회가 주최한 월례 정책 세미나에서 FP의 확산을 위해서 원격지개발 방식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7일에는 지경부 신산업정책관 윤수영 국장이 국솔모 오찬 모임에서 “잘못된 하도급 관행을 고치기 위해서 공공시장부터 원격지 개발 방식을 추진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보통신부 통폐합 이후 SW산업을 담당하고 있는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 신산업정책관에서 ‘FP 도입’이 필수적이란 일관된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지경부는 IT시장의 약 30%를 차지하는 공공시장부터 FP 도입을 추진하고, 이를 점차 민간 시장으로 확대시켜 나간다는 전략이다. 이의 일환으로 공공SW 사업부터 하도급시 사전 승인을 받도록 하는 등 하위법령의 개정작업도 병행할 계획이다.

문제는 민간시장에서 자발적인 움직임이 이뤄질 지에 달려 있다. 그중에서도 관건이 되는 곳은 금융시장. 현재 금융권에서 원격지 개발을 도입하고 있는 곳은 국민은행이 유일하다.

국민은행은 작년 12월 서울 상암동 DMC에 조성한 IT 클러스터 누리꿈스퀘어에 입주해 있다. 누리꿈스퀘어 3개 층 총 12,740m2에 약 1,000여명의 개발자가 상주해 차세대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하지만 국민은행을 제외하고는 뚜렷한 움직임이 없다. 이에 대해 금융권의 IT담당자들은 “업체들마다 FP를 산정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증권사의 차세대시스템 관계자는 “FP를 산출하는 기준은 나와 있지만, 업체들마다 자기 입맛에 맞춰 적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실제로도 발주업체들은 ‘맨먼스(man/month)’ 방식을 FP로 교묘하게 변형시키는 관행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편법을 막기 위해선 감독당국이 FP 산출의 기준을 더 세부적으로 규정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공공시장에만 한정돼 있는 지경부의 방침을 금융권까지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금융감독원과의 협의도 필수적이란 의견도 나오고 있다. 시중은행의 IT기획팀 관계자는 “지경부의 방침은 금융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며 “지경부가 금감원에 FP 도입의 당위성을 설득시키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IT서비스 업계에서는 원격지 개발 도입의 효과를 의심스러워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대형IT서비스 업체의 관계자는 “원격지개발은 허울 좋은 명분에 지나지 않는다”며 “국내개발업체의 설계 및 분석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데, 원격지개발을 도입하게 되면 작업의 속도 및 완성도는 더욱 떨어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그는 “FP 도입의 취지는 단계별 작업을 더욱 철저히 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선 개발업체들의 내부 역량을 향상시키는 작업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균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