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 막히고 차환도 어렵고···회사채 시장, 6년만에 순상환 전환
발행 막히고 차환도 어렵고···회사채 시장, 6년만에 순상환 전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업들이 모여 있는 서울시내 전경.(사진=서울파이낸스 DB)
기업들이 모여 있는 서울시내 전경.(사진=서울파이낸스 DB)

[서울파이낸스 김호성 기자] 올해 회사채 시장의 경색이 극에 달하면서 6년 만에 발행액보다 상환액이 많은 '순상환' 상태로 전환됐다.

통상 순상환은 기업들의 현금흐름이 개선됐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그러나 올해처럼 시장 경색과 수요 증발로 인해 신규 발행과 차환이 모두 막힌 경우에는 현금흐름 개선에 따른 순상환 현상이 동반됐다고 보긴 어렵다. 시장 상황이 녹록치 않다보니 발행 규모가 줄어 '울며 겨자먹기'식 상환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15일 현대차증권에 따르면 올해 회사채 시장(공모 기준)의 발행액과 상환액을 살펴본 결과 전날 기준 8조9400억원 순상환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이 회사채를 발행해 조달한 자금보다 기 발행한 회사채를 상환한 규모가 이 금액만큼 더 많다는 뜻이다.

연간 발행액보다 상환액이 많은 경우는 지난 2016년(1조3700억원 순상환) 이후 6년 만에 처음이다. 지난 2017년에는 3조2000억원 순발행이었다. 지난 2018년부터 작년까지는 연간 순발행 규모가 10조∼21조원대에 달했다.

이화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현재의 회사채 시장 경색과 기관들의 북클로징(book closing·회계 연도 장부 결산) 상황임을 고려할 때 다음 달에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며 올해는 사실상 순상환 상태로 끝날 것으로 전망했다.

보통 이같은 순상환은 기업들의 자금 사정이 나아지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실적 개선 등으로 보유한 현금이 많아질 경우 자금 수요가 줄어들면서 회사채로 조달한 빚을 갚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회사채 순발행 규모는 보통 기업들의 재무사정과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올해 기업들의 재무 사정이 나빠졌음에도 순발행 규모가 마이너스로 떨어져 순상환을 기록했다. 

회사채 시장이 순상환으로 전환한 가장 큰 이유는 금리 상승과 '레고랜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사태' 이후 회사채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수요가 말라붙자, 기업들이 회사채로 자금을 조달하지 못하고 은행 대출이나 기업어음(CP) 발행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직전 순상환이었던 지난 2016년도 유사한 상황이었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0년 남유럽 재정위기가 연이어 닥치며 기업들의 자금 사정이 악화해 2012년까지 기업들의 순발행 규모가 늘었다가, 2013년부터 상황이 개선되며 순발행 규모가 점점 줄어 2016년 순상환으로 돌아선바 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