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화 체제' 포스코, 탈탄소 산업 변모 '숙제'
'장인화 체제' 포스코, 탈탄소 산업 변모 '숙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BAM의 시행, 하이렉스 도입 등 생산 환경 변화 예정
'대주주' 국민연금 실력행사 미지수···절차 불공정 입장
포스코그룹 사옥 전경 (사진=포스코홀딩스)
포스코그룹 사옥 전경 (사진=포스코홀딩스)

[서울파이낸스 김수현 기자] 장인화 포스코 회장 내정자를 두고 포스코의 당면 과제를 해결할지 업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장 내정자는 임기 내 장기 불황에 빠진 철강 산업을 구출해 내며, 국제적 환경규제가 압박으로 탈탄소 산업으로 변모해 나가야 된다. '철강통'으로 불린 그가 중요 전환 시기에서 '승부수'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장인화 차기 포스코 회장 내정자는 다음달 21일 정기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거쳐 공식 취임할 예정이다. 그의 임기 3년 동안 포스코는 CBAM의 시행, 하이렉스 도입 등 급격한 생산 환경의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

CEO후보추천위원회(후추위)는 "장 후보가 저탄소 시대에 대응하는 철강 사업 부문의 글로벌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사업 부문의 본원적 경쟁력을 높이는 작업을 충분히 수행할 것"으로 판단하며 그를 회장 내정자로 낙점했다. 장 내정자가 시대 변화에 발맞춘 대응을 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유럽연합(EU)는 온실가스 규제를 위해 탄소조정국경제도(CBAM)를 도입기로 했다. CBAM은 EU 외의 국가에서 생산되는 상품과 회원국이 생산하는 제품 간의 탄소 배출 비용 격차를 없애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탄소국경세'라고도 불린다.

EU는 2023년 10월부터 2025년 말까지 전환 기간으로 설정해 제품 탄소 배출량 보고를 의무화했다. CBAM이 본격적으로 실시되는 2026년 1월부터 해당 회사는 CBAM 인증서를 구입해 탄소 비용을 지급해야 된다. 

장 내정자가 이끄는 3년 동안 포스코는 탄소세 절감을 위한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 포스코는 지난 2022년 전담 태스크 포스를 통해 CBAM에 대응해 오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 배출된 탄소량을 보고해 오고 있으며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기로 도입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 그의 임기 기간 동안 포스코는 수소 환원 제철 기술인 하이렉스의 시험 설비 가동을 예정한다. 하이렉스는 포스코만의 무탄소 기술 공법으로 철강 생산 과정 중 탄소 배출이 전혀 없어 '꿈의 기술'이라고도 불린다. 포스코는 지난달 수소환원제철 개발 센터를 개소하며 2027년까지 연산 30만t 규모의 설비를 준공하고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한편 포스코홀딩스의 최대주주인 국민연금공단이 장 회장의 취임에 실력행사를 나설지는 미지수다. 포스코홀딩스 지분의 6.71%를 보유한 연금공단은 지난 KT CEO 선출 과정에 적극 개입해 반대 목소리를 냈다. 

앞서 김태현 국민연금 이사장은 최정우 회장 중심의 후추위 구성이 차기 회장 선임 절차의 공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제기하기도 했다. 포스코 선임 과정에서도 국민연금이 스튜어드십 코드(주주권 행사)를 발동한다면 장 내정자의 임명 여부도 불투명하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