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청약 단지 절반이 '미달'···서울만 경쟁률 올라
올해 청약 단지 절반이 '미달'···서울만 경쟁률 올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1순위 청약경쟁률 지난해보다 2.7배↑
"입지·분양가 따라 '옥석 가리기' 심화될 것"
지난 5일 개관한 대형 건설사 시공 광주의 한 아파트 견본주택에 2만여 명의 방문객이 몰렸다. (사진=롯데건설)
지난달 개관한 대형 건설사 시공 광주의 한 아파트 견본주택에 2만여 명의 방문객이 몰렸다. (사진=롯데건설)

[서울파이낸스 박소다 기자] 올해 청약자 모집에 나선 아파트 분양 단지 중 절반이 경쟁률 미달로 저조한 성적을 보였지만, 여전히 서울 아파트는 수요자들에게 높은 관심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직방에 따르면 올해 총 99개 단지가 1순위 청약 접수를 진행한 가운데 이 중 52개 단지의 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이 1대 1에 미치지 못했다. 이중 36개 단지는 지방에서 공급됐다. 지역별로는 △울산(0.2대 1) △강원(0.2대 1) △대전(0.4대 1) △경남(0.4대 1) △부산(0.8대 1)의 청약 성적을 보였다.

반면 올해 서울에서 청약을 진행한 단지 6곳은 모두 1순위에서 청약 접수가 마감됐다. 1순위 청약 경쟁률은 124.9대 1로 지난해 같은 기간 45.6대 1에 비해 2.7배가량 높았다.

서울의 올해 3.3㎡당 평균 분양가는 7896만원으로 지난해 3017만원보다 2배 이상 높다. 3.3㎡당 1억원 넘는 분양가에 공급된 광진구 '포제스한강'이 평균 분양가를 끌어올렸고, 서초구와 강동구 등 고급 주거지 위주로 분양이 진행되며 전체 분양가가 높아졌다.

고급주거지의 희소가치와 상징성 등에 따라 높은 분양가에도 수요가 몰렸다. 서초구 '메이플자이'는 3.3㎡당 6831만원임에도 81가구 모집에 3만5000명 넘는 청약 수요자가 몰리면서 1순위 평균 44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서대문구 '경희궁유보라'가 124대 1, 강동구 '더샵둔촌포레'가 93대 1로 그 뒤를 이으며 서울 청약시장 강세를 주도했다.

지방에서도 분양 흥행 단지는 있었다. 전북 전주 '서신더샵비발디'는 55.5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며 지방 공급 단지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나타냈다. 전주 시내 중심에 위치해 각종 편의시설 접근성이 우수하며 학군, 쾌적성 등을 갖춘 브랜드 대단지로 청약 1순위 마감에 성공했다.

기존 미분양 적체로 우려가 컸던 대구에서도 두 자릿수 청약 경쟁률을 나타낸 단지가 있었다. 지난 4월 청약 접수를 진행한 '범어아이파크'는 82가구 모집에 수분양자 1256명이 몰리며 평균 15.3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초역세권 단지로 수요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직방 측은 입지와 분양가 등에 따른 청약 시장의 옥석 가리기가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직방 관계자는 "올해 청약경쟁률 상위 10개 단지 중 7곳은 수도권 공급 단지로, 수도권에 대한 관심이 여전히 높다"면서도 "수도권, 지방 여부가 아닌 향후 차익 실현 가능성 및 입지적 장점이 청약성적을 가릴 주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