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개발 예타 통과···8년간 4840억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개발 예타 통과···8년간 4840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 로고
산업통상자원부 로고

[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개최된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무기발광 디스플레이(iLED)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 사업'이 총사업비 4840억원 규모로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무기발광 디스플레이는 마이크로LED, QD, 나노LED 등을 통칭하는 말로 무기물 기반 소자를 발광원으로 사용하는 자발광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수분과 산소에 강하고 휘도·소비전력 등에서 다양한 장점이 있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이후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중국, 대만 등 주요 경쟁국은 LED 산업 기반을 바탕으로 마이크로LED 상용화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LED 칩 등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상황으로 관련 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 지원 필요성이 지속 제기돼왔다.

산업부는 동 사업을 통해 화소부터 패널, 모듈까지 공정 전 주기에 걸쳐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선점을 지원한다. 또 충남 아산에 대규모 실증 인프라인 스마트모듈러센터를 조성해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기술 검증과 상용화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번 사업은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이 OLED에 이어 무기발광 디스플레이에서도 세계 1위를 차지하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라며 "연구개발(R&D) 외에도 투자세액공제 확대, 전문인력 양성 등 산업 육성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