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내달 연체·만기연장 3회 이상 PF 사업장 우선 평가 진행
금감원, 내달 연체·만기연장 3회 이상 PF 사업장 우선 평가 진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리 실적 부진할 경우 현장점검 실시
금융감독원 (사진=서울파이낸스 DB)
금융감독원 (사진=서울파이낸스 DB)

[서울파이낸스 박조아 기자] 금융감독원이 이달 말 기준 연체 중이거나 만기 연장 횟수가 3회 이상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을 대상으로 다음달 사업성을 평가를 실시한다고 27일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본원 대회의실에서 금융권 부동산 PF 평가 담당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설명회를 열고, 지난 14일 발표한 사업성 평가기준 개선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금감원은 "기존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기준이 PF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구체적이지 않아 사업성이 부족한 사업장 선별 및 질서 있는 정리에 한계가 있어 제도개선을 추진하게 됐다"며 "평가기준을 핵심 위험요인별로 세분화, 구체화해 사업성 평가의 객관성과 합리성이 제고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선 이달말 기준 연체유예를 포함해 연체 중이거나 만기연장 횟수 3회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오는 6월 우선 사업장 평가를 한다. 이후 유의·부실우려 사업장에 대해서는 사업 진행상황과 만기, 여신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평가가 끝난 이후 한 달 후인 7월 말까지 재구조화·정리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금감원은 금융권으로부터 제출받은 유의·부실우려 사업장에 대한 사후관리 계획을 제출받아 이행상황을 점검한다. 만일 정리 실적이 부진하다면 필요시 현장점검을 실시해 사후관리가 실효성 있게 진행되도록 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사업성 평가시 한 개 지표에 의존하지 않고 만기연장 횟수, 공정률, 분양률 등 다양한 위험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토록 했다. 도시개발사업 등 사업의 특수성이 인정되는 경우 예외평가도 가능하다.

금감원은 사업성 평가기준 개선에 따라 PF유형, 사업 진행단계, 대상시설, 소재지, 공정·분양 현황, 대출관리 현황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정교하고 세밀한 기준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세부기준에 따라 PF사업 평가유형을 사업 진행단계별로 추가적으로 세분화해 핵심지표를 선별하고, PF사업장 소재지별·대상시설별 세분화된 통계를 활용할 예정이다. 또 6·12·18개월 등 경과기간별 분양률 분석, 공사비지수와 건설사 시공능력평가 정보 등 외부정보도 활용해 종합판별체계를 갖출 계획이다.

금감원은 "이번 사업성 평가가 PF 시장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자금 선순환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금이 옥석가리기를 통한 PF시장 연착륙의 적기인 만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평가해 달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