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서울 빌라 경매건수 '2006년 1월 이후 최다'
5월 서울 빌라 경매건수 '2006년 1월 이후 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시내의 한 빌라촌. (사진=노제욱 기자)
서울 시내의 한 빌라촌. (사진=노제욱 기자)

[서울파이낸스 박소다 기자] 전세사기 여파로 이번달 서울의 빌라 경매 건수가 또다시 늘어나며 2006년 1월 이후 최다 수준을 보였다.

28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1∼27일 진행된 서울 빌라 경매건수는 1149건으로 집계됐다. 이번달 말까지 진행 예정인 빌라 경매 건수를 합하면 총 1494건으로, 지난달(1456건)보다 50여건 많다.

지난달 서울 빌라 경매 건수는 2006년 5월(1475건) 이후 가장 많았으나, 한 달 만에 더 늘어나며 이 기록을 또다시 깬 것이다. 이는 2006년 1월(1600건) 이후 가장 많다.

서울의 빌라 경매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월평균 600∼800건 수준이었으나, △지난 1월 1290건 △2월 1182건 △3월 1048건 △4월 1456건 등으로 올해 들어 계속 1000건을 웃돌고 있다. 2022년부터 사회문제로 대두된 전세사기와 얽힌 물건이 경매 시장에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한 데다, 빌라 비선호 등으로 유찰이 반복된 것이 경매 건수가 늘어난 배경으로 추정된다.

지난 1∼27일 낙찰률(진행 건수 대비 낙찰 건수 비율)은 20%로 전달(15%)보다 다소 개선됐다. 낙찰률 상승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대항력을 포기한 빌라 경매가 늘었기 때문이다.

HUG는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세입자에게 집주인 대신 보증금을 내어준 뒤 채권 회수를 위해 강제경매를 신청하는데, 보증금이 많다 보니 경매시장에서 낙찰을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나자 보증금 일부라도 회수하기 위해 최근 대항력 포기를 택하고 있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당분간 빌라 경매 건수가 계속해서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매매시장에서의 빌라 기피가 경매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빌라 시장 자체가 살아나지 않는 한 경매 시장에서 빌라 경매 진행 건수는 늘어날 수밖에 없어 당분간 경매 건수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라며 "그래도 HUG가 대항력 포기로 낙찰률은 좀 더 올라가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