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잃은 돈 '은행으로!'…이달들어 13조
길잃은 돈 '은행으로!'…이달들어 13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금리 정책으로 일단 긁어 모으자"...예·대금리 동반 상승

[서울파이낸스 문선영 기자]<moon@seoulfn.com>은행들의 대출금리가 전방위로 인상되면서 서민 가계의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 원화 유동성 부족 등으로 양도성예금증서(CD)와 은행채 등 시장성수신의 금리가 오름세를 보이면서 대출금리 인상을 부추기고 있다.
은행들이 금리가 급등한 은행채 등 시장성수신 대신 예금금리 인상을 통한 유동성 확충에 나서면서 예금금리도 상승세를 보타고 있다. 유동성 위기감이 증폭되면서 일단 돈을 긁어 놓고 보자는 은행들의 심리가 금리인상을 부채질 하고 있는 것. 금융당국이 특판예금 판매를 금지시키자 지점장 전결 등의 방법을 동원하면서 이를 피해가고 있다. 이같은 예금금리 상승으로 인한 '역무브현상'으로 이달 들어 13조원이 넘는 돈이 은행으로 몰렸다.
 
2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이번 주 국민은행의 변동금리형 주택대출 금리는 6.92~8.42%로 지난주보다 0.0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04년 금리 체계를 변경한 이후 최고 수준.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의 주택대출 변동금리도 이번 주초 6.96~8.26%와 7.06~8.36%로 지난 주초보다 0.08%포인트 상승했다. 하나은행은 7.28~8.58%로 0.08%포인트 올랐으며 기업은행은7.11~8.41%로 최저금리가 0.06%포인트 올랐다. 우리은행의 3년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이번 주초 8.89~9.99%로 지난주 초보다 0.12%포인트 상승하는 등 장기 고정금리도 가파른 오름세다. 외환은행의 고정금리도 8.69~9.39%로 0.26%포인트 급등했다.
 
씨티은행은 이달 들어 신용대출 금리를 두 차례나 인상했다.
씨티은행은 지난 2일 2년제 직장인신용대출 금리를 0.70%포인트 인상한 데 이어 20일에도 11.80%로 0.10%포인트 추가 인상했다. 스마트론과 닥터론도 12.80%와 11.90%로 3주새 각각 0.35%포인트 인상했다.
 
양도성예금증서(CD)와 금융채 등 시장성 수신 금리가 급등하면서 은행 대출 금리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CD금리는 지난 10일 이후 11거래일 연속 상승하면서 24일 현재 6.18%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달 25일 이후 한달간 상승폭은 0.39%포인트에 달하고 있다.
은행들이 예금을 끌어들여 원화유동성 비율을 맞추기 위해 예금 금리를 7%대로 경쟁적으로 높였다. 이로써, 6개 주요은행의 지난 23일 기준 11조1천615억원의 예금증가를 기록했다.우체국금융과 농협을 합치면 예금 증가액은 무려 13조4천416억원에 달한다.
 
금융당국에서 특판예금을 금지하는 등 과당 경쟁을 경고하자 일부 은행들은 겉으로는 낮은 금리를 내세우면서도 영업점장 전결, 본부 승인 내지는 1천만원 이상 등의 방법으로 여전히 7%대 중반 상품 판매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7%대 후반까지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C제일은행은 개인 고객이 100만원 이상 넣으면 연 7.3% 금리를 제공하고 있고 기업은행 인터넷 예금 e-끌림통장 금리도 연 7.3%이며 우체국금융은 1천만원 이상일 경우 연 7.2%다.
하나은행은 'e-플러스 공동구매 정기예금'을 연 7.21%에 1천억원 한도에 모집했고 우리은행은 인터넷 상품인 '우리로모아정기예금' 금리를 연 7.05%까지 주고 있다.
국민은행과 씨티은행, 신한은행은 본점 승인을 조건으로 연 7.3%에 예금을 유치하고 있고 농협은 1천만원 이상일 경우 본부 승인을 받아 연 7.0%를 제공하며 외환은행은 'YES 큰기쁨예금' 금리가 연 7.0%이다.
하나은행이 이달들어 4조2천464억원이나 끌어모았으며 신한은행이 3조3천994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그 다음은 우리은행(1조3천673억원), 농협(1조6천218억원), 외환은행(1조3천206억원, 지난 20일까지) 등의 순이다. 이에, 은행 예금금리 8%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저작권자 ⓒ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서울파이낸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