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손해보험 손해율 급증…리스크관리 시급
장기손해보험 손해율 급증…리스크관리 시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험개발원> "보험사 간 사고정보 공유·활용해야"

[서울파이낸스 박민규 기자] 장기손해보험 손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어 리스크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보험개발원은 19일 장기손해보험의 과거 7년간(2001년4월~2008년3월) 질병담보의 손해율을 분석한 결과 보험사의 체계적인 리스크 측정과 이를 고려한 상품개발 및 운영, 보험정보 교환을 통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특히 장기보험 질병담보의 경우 외부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데다 리스크의 변동성이 커 더더욱 위험관리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이번 분석결과 여성 및 고연령층(51~60세)의 손해율이 상승추세고 무엇보다 암·뇌질환·심장병의 손해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례로 2001~2002년 인수한 보험계약의 손해율은 6년이 흐른 시점에 여성 질병 담보 84.3%에서 116.7%로, 여성 암 담보 160.3%에서 175.3%로, 고연령층 질병 담보 59.8%에서 179.6%로 모두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수 연도별 손해율 추이는 뇌질환 담보의 경우 2001년 25.0%에서 2006년 97.9%로, 같은 기간 심질환 담보는 52.4%에서 148.6%로 대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보험사는 ▲적정한 가격책정 ▲손해발생 추이를 반영한 보장기간의 설정 ▲갱신가능 담보의 확대 적용 ▲성격이 다른 담보의 혼합판매 등 상품운용전략과 ▲역선택 및 도덕적 해이 방지를 위한 계약·사고정보의 공유·활용에 나서야 한다고 보험개발원은 제언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