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이 환자 대신 보험금 청구 가능해진다
병원이 환자 대신 보험금 청구 가능해진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유승열기자] 올해 안에 병원 등 제3자가 보험사에 환자 대신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치매 환자 등 고령자들이 보험금을 청구하지 못하는 사례를 막도록 제3자가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계약자가 가입 시점에 보험 청구 대상을 지정할 수 있는 '지정 청구인 대리' 제도보다 한층 확대된 개념이다.

제3자에는 친인척뿐만 아니라, 의료기관 등도 포함된다. 병원이 환자를 대신해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당초 금융위는 보험업법 개정을 통해 내년부터 시행하는 것을 검토했으나, 보험감독규정을 통해 하반기에 시행할 수 있도록 일정을 앞당기기로 했다.

또 개인정보보호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안전장치도 마련하기로 했다.

아울러 금융위는 '단기소액보험' 도입도 검토하기로 했다.

단기소액보험은 보험금 1억원, 보험기간 2년 이내의 보험으로, 일상생활의 다양한 위험을 보장해주는 상품이다. 콘서트 티켓을 예매했는데 갑작스러운 일로 가지 못하게 됐을 때 이를 보상해 주는 입장권 보상 보험이나 계획한 여행 일정을 취소하게 됐을 때 보상해주는 여행자 기후 보험 등이 있다.

이밖에도 안전관리 전담 도우미를 통한 주택 보안이나 독거노인 안부 확인, 고령 운전자 사고예방 교육 등 일상생활의 위험을 예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험 개발도 추진하기로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보험의 저변을 확대하고,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위험 보장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보험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