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희정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면서 민간소비 회복세가 예상보다 더딜 것이란 한국은행의 분석이 나왔다. 외부활동 자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격상 등 대면서비스가 위축된 데 따라 소비 개선흐름이 약화됐다는 것이다.
한은은 22일 출입 기자단과 비대면 워크숍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최근 소비동향 점검 및 향후 리스크 요인'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은은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 지연, 거리두기 일상화 등으로 숙박·음식·예술·스포츠·여가·교육 등 대면 서비스 회복이 상당 기간 늦춰질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대면 서비스 소비는 대외활동 제한에 직접 타격을 입는 데다 필수 지출이 아닌 '재량적 지출' 성격이 강해 다른 서비스보다 소비심리나 소득 불확실성 등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실제로 외환위기, 금융위기 등 과거 '경제 충격' 시기에도 대면 서비스 소비의 경우 다른 서비스 지출과 비교해 회복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한국신용데이터 카드사용액 통계를 봐도, 코로나19 2차 확산과 영업 제한이 이뤄진 8월 첫째 주부터 9월 첫째 주까지 수도권 소상공인 매출은 음식·숙박 등 대면 서비스 중심으로 급감했다. 그 폭도 1차(2월 둘째 주∼3월 셋째 주)보다 컸다.
국외소비도 소비 회복의 발목을 잡을 잠재적 위험 요소로 지목됐다. 한은은 국가 간 이동제한이 이어지고 여행심리 회복도 부진하기 때문에 국외소비 위축 현상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19 이후 내국인 출국자 수가 90% 이상 급감하는 등의 영향으로 민간소비에 대한 국외소비 기여도(전년동기대비) 역시 1분기 -1.1%p, 2분기 -2.8%p로 하락 폭이 커지는 추세다.
반대로 코로나19로 늘어난 온라인·재택근무 관련 비대면 수요, 소비 위축에 따른 저축 증가 등은 민간소비 회복에 긍정적 요소로 꼽혔다. 다만 코로나19가 장기화로 소득 여건·심리 개선이 지연되면 이런 '대체 소비' 증가세도 제약될 것으로 우려됐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대면 서비스, 국외소비, 대체 소비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민간소비 회복세는 예상보다 더딜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