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소형지진감지센서' 설치 영역 대폭 확대
SKT, '소형지진감지센서' 설치 영역 대폭 확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상청·경북대·우본·해경과 협력···2200여곳 추가 구축 완료
중부소방서회현119안전센터에 감지센서를 설치하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중부소방서회현119안전센터에 감지센서를 설치하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서울파이낸스 이호정 기자] SK텔레콤(SKT)과 기상청, 경북대학교는 대한민국의 지진대응체계 고도화를 목표로 소방청, 우정사업본부, 해양경찰청 등 전국 단위의 인프라를 갖춘 공공기관들과 손잡고 소형 지진감지센서 설치 규모를 대폭 확대한다고 9일 밝혔다.

SKT와 기상청, 경북대 초연결융합기술연구소는 지난해 전국의 SKT 기지국과 대리점 등 3000여 곳에 설치했던 소형 지진감지센서를 연말까지 전국 8000곳으로 확대 설치하게 된다.

3사는 지난해 3000여 곳에 지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기상청의 지진관측망과 연동해 지진 연구 및 대응을 위한 ‘지진감지 네트워크’를 시범 구축한 바 있다.

특히 소형 지진감지센서는 기상청의 정밀 센서와 달리 중규모 이상 지진의 진앙지 인근 진동만 감지할 수 있어 조밀한 관측망이 요구된다. SKT는 기존 설치 규모의 2.7배에 달하는 이번 센서 확대 구축을 마치면 10㎢당 3~4개의 센서가 설치돼 전국 단위의 지진 감지가 가능해 진다고 설명했다.

SKT과 기상청, 경북대는 이번 설치 규모 확대가 지진 탐지망의 조밀도를 대폭 향상시켜 오탐지 최소화 연구 등 국가 지진대응체계 고도화에 힘을 보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SKT는 이미 전국 단위의 시설을 보유한 우정사업본부와 대한민국 해안가를 관할하는 해양경찰청과의 협력으로 추가 구축 5000여 곳 가운데 이미 2200곳 이상에 소형 지진감지센서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우정사업본부의 경우 전국의 시 단위 총괄국과 동 단위 창구국 등 1600여 우체국에 1900여 개의 센서를, 해양경찰청의 경우 해안가 인근의 파출소 및 출장소 330여 곳에 센서를 설치했다.

특히 최근 2년 내 발생한 한반도 지진의 40% 이상이 해역에서 발생하고 있어 해양경찰청 시설에 구축한 지진감지센서는 대한민국 근해의 지진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SKT는 소방청과 전국 각지에 위치한 119안전센터 및 지역대 2600여 곳에 소형 지진센서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 SKT는 전국에 고르게 위치한 소방청 덕분에 전국 단위의 촘촘하고 고른 지진관측 연구 네트워크를 완성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기존 SKT 기지국에 설치된 센서는 인구밀집도가 높은 지역 위주로 분포되어 있어, 인구밀도가 낮은 읍∙면∙동 단위 외곽 지역에는 우체국 설치물량 등 소량의 센서에 의지해야만 했다.

육상재난의 총괄 대응 책임기관인 소방청은 전국 방방곳곳에 위치한 119안전센터를 비롯한 다양한 소방청의 인프라를 활용해 대한민국 지진 재난에 대비하는 연구에 도움이 되길 기대했다.

한편 기상청은 확대 설치되는 지진감지센서를 통해 관측자료가 보강되면 진도 정보가 상세해지는 것은 물론 지진 조기경보 시간 단축 연구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기상청은 소형 지진감지센서를 통해 확보한 진동 데이터를 기상청의 전국 정밀지진관측소 338곳의 관측 자료와 비교해 지진 분석 성능을 검증하고 있으며 지진정보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을지 여부 등을 검토 중이다.

또한 SKT와 기상청, 경북대학교는 민∙관∙학 합동으로 이뤄지는 소형 지진감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가 학술적으로도 큰 가치를 지닌다고 밝혔다.

건물에서 발생되는 지진동 데이터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대규모 상시 수집 체계처럼 고정된 위치에서 대량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연구는 아직 체계적으로 이뤄진 적이 없어 건물이나 유동인구 등에 의한 지진동 영향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박명순 SKT 인프라 벨류 혁신 그룹장은 "대한민국을 지진으로부터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활동에 정부 및 공공기관, 경북대학교와 힘을 모을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통신사가 보유 중인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지속적이고 다양한 ESG 경영 활동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