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외식비는 '고공행진'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를 기록하며 2개월째 이어진 6%대 상승률을 끊어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한 것도 7개월 만이다. 국제유가 하락에 석유류 오름폭이 주춤한 영향이다. 그러나 농산물, 외식 등 개인서비스는 여전히 높아 물가 하락을 체감하기엔 어려울 전망이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62로 지난해 8월보다 5.7%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월보다 낮아진 건 지난 1월 이후 7개월 만이다. 지난 1월 물가는 3.6% 올라 직전 달인 지난해 12월(3.7%)보다 상승률이 소폭 둔화한 바 있다.
물가 상승률은 1월 3.6%에서 2월 3.7%로 올라선 뒤 3월 4.1%, 4월 4.8%, 5월 5.4%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난 6월과 7월엔 각각 6.0%, 6.3% 올라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전월 대비 6개월 연속 커졌던 물가 오름폭은 지난달 둔화해 3개월 만에 5%대로 내려왔다.
8월 물가 상승률이 전월보다 둔화한 데는 유가의 영향이 큰 공업제품 가격 상승세가 둔화된 데 따른다. 공업제품 상승폭은 7.0%로 전월 8.9%보다 내려갔다. 기여도도 전월 3.11%p(포인트)에서 2.44%p로 하락했다.
석유류는 19.7% 올랐다. 경유(30.4%), 휘발유(8.5%), 등유(73.4%) 등이 오른 영향이다. 석유류 오름폭은 여전히 큰 수준이지만 전월의 35.1%보다는 줄었다. 석유류 상승폭은 올해 2월 19.4%에서 3월 31.2%로 뛰어오른 뒤 7월까지 5개월간 30%대를 유지해왔다. 전년동월비가 아닌 전월비로 보면 석유류는 10.0% 하락해 1998년 3월(-15.1%)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다만, 가공식품은 8.4% 올라 전월(8.2%)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전기·가스·수도 상승률은 15.7%로 전월(15.7%)과 같았다. 전기료(18.2%), 도시가스(18.4%), 지역난방비(12.5%), 상수도료(3.5%)가 일제히 올랐다. 공공요금이 인상된 여파에 7월과 8월 전기·가스·수도 상승률은 조사가 시작된 2010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농산물과 개인서비스 상승세는 이어지고 있다. 농축수산물은 7.0% 올라 전월(7.1%)보다 상승률이 소폭 낮아졌지만 이 중 농산물의 상승폭은 10.4%로 전월(8.5%)보다 커졌다. 농산물 상승률은 지난해 6월(11.9%) 이후 최고 수준이다.
배추(78.0%), 오이(69.2%) 파(48.9%) 등 채소류가 27.9% 올라 전월(25.9%)보다 상승폭이 커졌고 이는 2020년 9월(31.8%)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 축산물(3.7%)과 수산물(3.2%) 상승폭은 전월보다 낮아졌다.
개인서비스는 6.1% 올라 1998년 4월(6.6%)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외식 상승률이 8.8%로 1992년 10월(8.8%) 이후 최고치였다. 치킨(11.4%), 생선회(9.8%) 등의 가격이 오른 영향이다. 보험서비스료(14.9%) 등 외식 외 개인서비스는 4.2% 올랐다. 집세는 1.8%, 공공서비스는 0.8%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더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6.8%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은 4.4%였다.
생활물가지수와 근원물가는 모두 상승폭이 전월보다 둔화했다. 그러나 신선식품지수는 14.9% 올라 전월(13.0%)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물가 상승세가 정점을 찍고 내려가는 것이냐'는 질문에 "유가나 국제 곡물가 같은 대외변수들의 흐름이 완전히 역전되지 않는다면 정점의 가능성도 실질적으로 있다"면서도 "다만 대외적 불안 요인들이 다시 악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