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M 하락세에 수익성 '빨간불'···충당금 2배 늘려
KB금융, 리딩뱅크 탈환···한층 치열해진 순위경쟁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국내 4대 금융그룹이 대출금리 인하 압박에 따른 이자이익 감소, 충당금 확대 등 악조건 속에서도 올해 1분기 순이익이 증가하는 등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 금리상승기 효자 노릇을 하던 은행이 주춤했지만 비은행 계열사들이 선방하며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다만, 전반적인 수익성 지표가 악화돼 2분기부터 실적 내리막길이 예상된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그룹의 올해 1분기 합산 당기순이익은 4조8991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4조5870억원) 대비 6.8% 증가했다. KB금융이 1조4976억원(전년比 2.5%↑)으로 지난해 신한금융에 빼앗겼던 리딩뱅크 타이틀을 탈환했다. 이어 △신한금융 1조3880억원(0.2%↑) △하나금융 1조1022억원(22.1%↑) △우리금융 9113억원(8.6%↑) 등을 기록했다.
경쟁사 간 순이익 차이를 보면 KB금융과 신한금융이 1096억원,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이 1909억원으로 올해 순위 경쟁이 한층 치열하게 펼쳐질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최대 실적의 배경이 됐던 이자이익은 1분기 다소 주춤한 모습이다. 4대 금융의 1분기 합산 이자이익은 9조7197억원으로 전분기(10조5963억원)보다 8.3% 줄었다. 금융그룹별로 보면 △KB금융 2조7856억원(전분기比 6.9%↓) △신한금융 2조5401억원(전분기比 10%↓) △하나금융 2조1750억원(전분기比 10.6%↓) △우리금융 2조2190억원(전분기比 5.5%↓)으로 모두 전분기보다 감소했다.
이자이익 감소는 은행을 중심으로 순이자마진(NIM)이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은행들은 금융당국의 이자장사 지적에 올해 1분기 일제히 대출금리를 인하하는 내용의 '상생금융'을 시행했다. 실제 KB금융을 제외한 3대 금융그룹과 계열 은행의 NIM은 모두 전분기보다 하락했다. NIM 하락은 수익성이 악화됐다는 의미다.
신한금융과 신한은행의 1분기 NIM은 1.94%, 1.59%로 전분기 대비 각각 4bp(1bp=0.01%p), 8bp 떨어졌다. 같은 기간 하나금융과 하나은행의 NIM은 1.88%, 1.74%로 8bp, 6bp 하락했다. 우리금융과 우리은행의 NIM도 1.91%, 1.65%를 기록, 전분기보다 1bp, 3bp 떨어졌다.
KB금융과 KB국민은행의 경우 1분기 NIM이 2.04%, 1.79%로 전분기보다 5bp, 2bp 상승했다. 상생금융, 핵심예금 감소 등 마진 개선이 어려운 환경이었지만 자산 리프라이싱(Repricing) 및 탄력적 조달 포트폴리오 관리를 바탕으로 NIM 개선에 성공했다는 설명이다.
부진한 이자이익은 비이자이익이 메웠다. 4대 금융의 1분기 비이자이익은 3조7182억원으로 전분기(8977억원) 대비로는 314.2%, 전년 동기(2조6612억원) 대비로는 39.7% 각각 증가했다. 1분기 시장금리 하락, 증시 회복에 따른 유가증권 관련 손실이 이익으로 전환된 영향이 컸다.
금융당국 권고에 따라 4대 금융은 대손충당금도 대규모로 적립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금융회사를 향해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취약차주 연체율 상승 등 건전성 우려가 커지고 있어 1분기 충당금 적립 규모를 늘리라고 요구한 바 있다. 충당금은 발행 가능한 미래 손실에 대비해 미리 쌓아두는 자금으로, 쌓을수록 순이익이 줄어든다.
금융그룹별로 보면 1분기 KB금융은 6682억원을 신규로 적립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1458억원)의 약 4.6배 수준이다. 신한금융도 1분기 대손충당금 전입액(4610억원)을 지난해 1분기(2434억원)보다 89.4% 늘렸다. 경기변동 대비 신규 충당금 적립액이 1년 새 745억원에서 2.5배인 1850억원으로 늘었다. 하나금융의 1분기 대손충당금 등 전입액은 3432억원으로 1년 전(1646억원)의 2배 수준을 기록했다. 우리금융은 대손충당금 전입액을 지난해 1분기 1661억원에서 올해 1분기 2614억원으로 늘렸다.
건설사 줄줄이 망조
어여
정상화 시켜야 ㆍㆍㆍ
잘 만들고
잘 팔고
잘 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