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사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56조···"손실 있어도 영향 제한적"
국내 금융사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56조···"손실 있어도 영향 제한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년말比 2조원↑···보험 31.7조원으로 가장 많아
"개별 투자내역별로 밀착 점검···대응능력 제고"
여의도 증권가.(사진=박조아 기자)
여의도 증권가.(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이 5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해외 부동산 시장의 위축 장기화로 금융사들의 손실 확대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금융 당국은 투자 규모가 총자산 대비 크지 않다는 점에서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10일 금융감독원은 올해 6월 기준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2조원 증가한 55조8000억원으로, 금융권 총자산(6762조5000억원)의 0.8% 수준이라고 밝혔다.

업권별로는 보험이 31조7000억원(56.8%)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은행 9조8000억원(17.5%) △증권 8조3000억원(15.0%) △상호금융 3조7000억원(6.7%) △여전 2조1000억원(3.8%) △저축은행 1000억원(0.2%) 순으로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북미가 35조8000억원으로 비중이 64.2%에 달했다. 이어 유럽 11조원(19.6%), 아시아 4조2000억원(7.4%), 기타 및 복수지역 4조9000억원(8.7%) 순이었다.

오는 2024년 만기가 도래하는 물량은 전체의 25.4%에 달하는 14조1000억원이었으며, 오는 2030년까지 총 43조8000억원(78.6%)이 만기가 도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의 35조9000억원 중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한 금액은 1조3300억원(3.7%)이었다.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자산 중 유가증권(45조7000억원)의 누적평가손실율은 2.36% 수준이었다.

금감원은 "EOD(기한이익상실)가 발생한 사업장의 경우에도 장기 임대계약 등 수익성 유지시 대출 조건조정 및 만기연장, 재구조화를 통해 사업 정상화가 가능하다"며 "자산 매각 등 발생시 투자 트렌치(순위)에 따라 전액 또는 일부 투자금 회수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당국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선진국의 재택근무 정착과 고금리 지속 등으로 해외 부동산 시장 위축이 장기화될 경우 국내 금융회사의 손실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다만 국내 금융회사가 해외 부동산에 투자한 규모가 금융권 총자산(6762조5000억원) 대비 0.8%에 불과하고 금융사의 양호한 자본비율 등 손실흡수 능력을 감안하면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손실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금감원은 "기간별 만기도래 규모도 고르게 분포돼 있어 해외 부동산 가격 하락시에도 특정 시점에 손실이 집중되지는 않을 전망"이라며 "특히 2024년말까지 만기도래하는 14조1000억원의 경우 해외 부동산 가격이 급등한 2019년 이전 투자액이 10조9000억원으로 77.3%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가격 하락 위험이 낮은 수준"이라고 했다.

당국은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에 대해 개별 투자내역별로 밀착 점검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 등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금융사의 손실 및 부실우려 자산 발생시 보고체계를 마련하고 관심회사를 선정해 신규투자와 손실 자산 현황도 관리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금융 업권별 대체투자 모범규준의 이행상황을 점검해 금융회사의 내부통제 강화를 유도하고 리스크 요인에 대한 대응능력을 제고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