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김수현 기자] 기후변화 대비 시 단기적인 날씨 변동성이 아닌 장기적 영향과 회복 탄력성 개발 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정국모 서강대 교수는 23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4 서울파이낸스 포럼의 패널(좌장 박순애 서울대 교수)로 참석해 "거시경제와 기후변화 간 관계를 정확히 판단하지 않으면 기후 변화에 맞서기 위해 사용하는 많은 자원과 노력들이 낭비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교수는 "많은 실증연구들이 실제 기후변화가 다양한 거시경제 지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단 사실을 발견했다"며 "과거 데이터에 초점을 맞춘 기존 연구들로는 기후변화의 첫번째 충격만 관찰 가능한데, 장기적 관점에서 두 번째와 그 이후 충격들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포럼에서 황재학 금감원 수석조사역은 "홍수와 침수 피해에 취약했던 광진구는 자연재해 예방 시스템 투자를 통해 개선된 모습을 보인다"며 기후변화에 따른 정책입안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황 수석은 이어 "대통령 직속의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환경위 모두 다른 관점에서 노력하며 범위도 다르다"며 "기후 변화 정책을 논의할 때 어떤 곳에 초점을 맞춰야하는 가에 대해 생각해봐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수파릿 수와닉 태국 중앙은행 박사는 이날 "기후변화로 인해 통화정책이 불균등하게 발생할 수 있다며, 정책입안자들이 비대칭성과 비선형성에 대해 인식할 필요성이 있다"며 "태국의 중앙은행의 경우 기후 정책서 발행, 지식 제공, 녹색 기후 상품 개발 장려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발표한 듀라니 아지즈 AMRO 팀장은 기후변화로 인해 중앙은행이 취해야할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중앙은행은 녹색금융이 정확이 어떤 것인지 정의하며, 나아가 그린워싱, 규제 차익 등을 피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금융의 정의가 무엇인지 정의 또한 명확히 해야한다"며 "녹색 기업에는 대출조건을 완화하거나 대출 이자율의 낮추는 등의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유인책을 마련해야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