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SKC는 올해 3분기 매출 4623억원, 영업손실 620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5% 늘었으나 전분기 대비 2.2% 줄었다. 영업손실 규모는 전분기 대비 7억원 가량 줄이는데 그쳤다.
주요 사업의 업황 회복이 여전히 쉽지 않아 매출 규모의 양대 축인 이차전지소재와 화학 사업의 영업손실로 이어졌다. SKC는 사업별 경쟁력 강화를 통해 내년이후 실적 반등을 준비하고 있다.
사업부문별로 이차전지용 동박사업 투자사 SK넥실리스는 중화권 대형 고객사의 판매 개시 및 주요 고객사와의 중장기 공급계약 체결을 앞두고 본격적인 매출 확대를 위한 채비에 나서고 있다. 이로 인해 말레이시아 공장 가동률을 큰 폭으로 끌어 올려 원가 구조 개선을 실현할 예정이다.
화학 사업은 주력 제품인 프로필렌글리콜(PG)의 안정적인 판매가 유지되고 있다. 환율로 인한 일부 수익 감소와 해상 운임 상승에 따른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산업용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며 판매가 늘었다.
반도체소재 부문은 테스트 소켓 사업을 하는 ISC가 주축으로 자리잡으며 지난 분기에 이어 반도체소재 사업의 실적을 이끌었다. 올해 초부터 추진해온 비메모리 양산용 매출 성장이 지속됐고 AI 서버 관련 매출이 전분기 대비 35% 증가하며 성장을 견인했다. SK엔펄스의 주력 품목인 CMP패드 등도 손익분기점에 도달했다.
SKC는 비핵심 자산의 적기 유동화로 1조원 이상의 현금을 확보하고 차입금을 줄여 투자사의 재무 부담을 크게 낮췄다. 특히 지난 9월에는 SK넥실리스에 대한 7천억 유상증자 지원으로 인수금융 전액을 상환했다. 연말 순차입금 규모 또한 올해 초보다 3000억원 감소할 전망이다.
앱솔릭스 글라스기판 사업은 내년 고객사 양산을 목표로 나아가고 있다. 올해 상반기 완공된 공장은 현재 모든 설비가 설치 완료돼 고객사 인증용 샘플 제작을 준비 중이다. 또 지난 5월 미국 반도체법 보조금을 확보한 데 이어 올해 안에 미국 정부의 보조금 추가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분해 소재사업 투자사 SK리비오는 베트남 하이퐁시에 구축 중인 글로벌 생산 거점을 기반으로 내년도 양산을 가시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