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LG엔솔, UAM에 최적화 된 차세대 리튬황전지 개발
KAIST·LG엔솔, UAM에 최적화 된 차세대 리튬황전지 개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밀도 60% 높아···"차세대 모빌리티 상용화 진전"
리튬금속전지 관련 인포그래픽. (사진=KAIST)
리튬금속전지 관련 인포그래픽. (사진=KAIST)

[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을 위한 에너지원으로는 쓰이는 기존 상용 리튬이온전지는 무게당 에너지밀도가 낮은 한계점이 있다. 최근 KAIST와 LG에너지솔루션 공동연구진이 이를 극복할 차세대 기술로 활용될 혁신적인 리튬황전지를 개발했다.

KAIST는 김희탁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이 LG에너지솔루션 공동연구팀과 협력 연구를 통해 배터리의 안정적 사용을 위해 전해액 사용량이 줄어든 환경에서 리튬황전지 성능 저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능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리튬황전지는 기존 리튬이온전지 대비 2배 이상의 무게당 에너지밀도를 제공할 수 있어 UAM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기존 리튬황전지 기술은 배터리의 안정적 구동을 위해 많은 양의 전해액이 필요해 전지 무게가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에너지밀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전해액 사용량을 줄이는 희박 전해액 환경에서는 성능 열화가 가속화되는 한편, 퇴화 메커니즘조차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UAM용 리튬황전지 개발이 난항을 겪어 왔다.

연구팀은 전해액 사용량을 기존 대비 60% 이상 줄이고도 400Wh/kg 이상의 에너지밀도를 구현하는 리튬황전지를 개발했다. 이는 상용 리튬이온전지보다 60% 이상 높은 에너지밀도를 가지며 안정적인 수명 특성을 확보해 UAM용 배터리의 가장 큰 장애물을 극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팀은 다양한 전해액 환경을 실험하며 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이 전극 부식으로 인한 전해액 고갈임을 밝혀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불소화 에테르 용매를 도입해 리튬 금속 음극의 안정성과 가역성을 높이고 전해액 분해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

김일주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박사과정 학생이 제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에너지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즈'에 게재되며 그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김희탁 교수는 "이번 연구는 리튬황전지에서 전해액 설계를 통한 전극 계면 제어의 중요성을 밝힌 의미 있는 연구로 대학과 기업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진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UAM과 같은 차세대 모빌리티 배터리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큰 진전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2021년 KAIST와 LG에너지솔루션이 공동 설립한 '프론티어 리서치 랩'에서 수행됐으며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