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영업개시 '뱅크런' 촉각
저축銀 영업개시 '뱅크런' 촉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당국, 저축은행 고객 달래기 주력

[서울파이낸스 이종용 기자] 최근 저축은행 7곳이 잇따라 영업정지를 당한 가운데 저축은행이 문을 여는  오늘(21일)이 대규모 예금인출 사태(뱅크런)의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이날 부산지역을 직접 방문해 관계기관과 합동회의를 열고 조기 정상화 계획을 마련하는 등 사태 확산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지난 17일 부산과 대전저축은행에 이어 19일 부산2, 중앙부산, 전주저축은행, 보해저축은행에 영업정지 조치를 내렸다. 지난달 1월 삼화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된 것을 포함하면 올해 7곳이 문을 닫았다.

부산저축은행의 영업정지 이후 자회사인 부산2, 중앙부산, 전주저축은행에서는 대규모 예금 인출이 이어지면서 유동성 부족이 직접적인 원인이 됐다. 당국에 따르면 17일부터 이틀간 부산계열 저축은행에서 4500억원의 예금이 빠져나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당국이 우려를 표명했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5% 이하인 도민, 예쓰, 우리, 새누리저축은행의 예금자들의 태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당국은 이들 4개은행에 대해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히며, 예금자들을 설득하고 있다.

현재 새누리저축은행은 대주주인 한화그룹이 200억원의 예금을 예치해 유동성을 공급하고, 우리저축은행은 대주주가 내달 최대 200억 원을 증자할 것으로 알려졌다. 도민저축은행도 주중에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하면서 유동성 확보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날 김 위원장을 저축은행 사태의 확산을 막기 위해 부산을 방문해 관계기관 합동대책회의를 진행한다.

대책회의에서는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의 예금자에 대한 지원 등 예금자 불편을 해소하고, 다른 저축은행에 대한 유동성 지원 등 조기 경영정상화 방안이 논의된다. 또 지역 내 기업 및 서민의 금융애로 해소 등 시장안정대책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