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銀, 집단성과급제 도입에 직원들 '불만'
국민銀, 집단성과급제 도입에 직원들 '불만'
  • 황철
  • 승인 2004.12.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점별 영업환경 무시한 획일적 평가
점주권 취약 영업점, 상대적 불이익 호소

국민은행이 영업점에 대한 성과평가를 개별 지점의 영업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어 일선 직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현행 절대평가방식이 지점별로 책정되는 집단성과급으로 연결되면서, 점주권이 약한 영업점의 경우 상대적 불이익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현재 국민은행은 실적에 따라 S, A, G, C, D 등 5개 등급으로 나눠 집단성과급을 책정하고 있다. 기준이 되는 G(ground) 등급보다 낮은 평점을 받을 경우, 연봉 삭감은 물론이고 개인성과평가와 연동해 인사고과에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도 큰 상태다.

국민은행 모 지점 직원은 “최소한 기준등급(G) 안에는 들어야 연봉책정에서 손해를 보지 않는다”며 “하위점포에 속하게 되면 내년도 연봉 삭감을 감수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 “규모나 영업환경에 따라 실적에 큰 차이가 남에도, 동일한 선상에서 성과급을 책정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실제로 소규모 지점이나 고객 확보가 어려운 지역의 영업점은 실적 수립에 상대적 열세를 가질 수밖에 없어 행원들의 부담이 더욱 큰 상태다. 특히 자신의 실적에 따라 지점 전체가 평가받는다는 중압감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일선 직원들은 야근은 물론이고, 주말까지 영업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라며 강한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또 실적 쌓기에 급급해 고객들을 상대로 한 무리한 영업행위까지 발생하고 있다며 시정을 요구하고 있다.

일선 관계자는 “작은 지점들의 경우 퇴근 후나 휴일에도 영업에 나서고 있다”며 “지인들에게 상품을 떠넘기는 것은 물론이고 일부에서는 편법적인 방법도 동원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국민은행의 성과평가시스템(KPI) 상 배점 기준이 수시각각 변하고 있어, 직원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국민은행
이 시기별 중점 사업에 따라 동일 평가항목에 대한 배점을 임의로 조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기마다 집중 관리 상품을 바꿔야 하는 행원들은 고객 관리는 물론이고 전문적으로 상품을 취급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동 관계자는 “현행 성과평가가 지난해 가을에는 뱅크온, 올봄에는 연체관리, 여름에는 방카슈랑스 등의 식으로 시기별로 동일 상품에 대한 배점을 변경하고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며 “핵심 전략 부분을 강화하는 것은 이해하지만, 최소 1년 동안은 동일 기준으로 시행해야 일선 직원들의 혼선이 줄어들 것”이라고 전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