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 계열사 잇따라 법정관리行...은행들 '당황'
웅진 계열사 잇따라 법정관리行...은행들 '당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룹 위험노출액(익스포저) '3조3000억원'

[서울파이낸스 이종용기자] 웅진그룹 핵심계열사인 극동건설과 웅진홀딩스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금융권에도 그 파장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웅진그룹이 금융권에 지고 있는 부채는 6조2000억원에 달한다. 금융권 대출과 보증이 3조7000억원이고 나머지는 기업어음(CP) 등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가운데 금융권 대출은 은행권이 3조3000억원, 제2금융권이 4400억원에 달한다. 은행권 대출 중에서는 직접대출 및 보증이 2조7000억원,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액이 6000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우선, 이번 사태의 진원지인 웅진홀딩스와 극동건설의 금융권 채권 및 대출 현황은 지난 20일 현재 각각 5542억원과 6300억원이다. 법정관리가 받아들여지면 이들 채무 전체가 동결되면서 금융권에 큰 부담을 줄 전망이다.

가장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곳은 두 핵심계열사의 주채권은행들이다. 웅진그룹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 등은 여러가지 방안을 놓고 논의를 거듭하고 있지만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은행별로는 웅진홀딩스의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이 1256억원으로 여신 규모가 가장 컸으며, 하나은행 699억원과 신한은행 149억원 등으로 적지 않은 여신을 갖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극동건설만 법정관리 대상에 해당할 줄 알았는데 웅진홀딩스까지 포함돼 당황스럽다"면서 "이미 법정관리신청에 들어갔기 때문에 대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극동건설의 경우 금융권 여신(총 6300억원) 가운데 은행권에 잡힌 여신은 3000억원이다. 은행별로는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이 520억원이고, 수출입은행 1200억원, 신한520억원, 우리은행 500억원, 하나은행 200억원, KDB산업은행 150억원 등이다.

금융권에서는 극동건설의 법정관리 신청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극동건설에 대해서는 이미 지속적으로 충당금을 쌓아오면서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계열사인 웅진홀딩스까지 법정관리를 신청해 충격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