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품 수출, 20년새 50배 '껑충'
자동차 부품 수출, 20년새 50배 '껑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정초원기자] 국산 자동차부품 수출액이 지난 20년 동안 50배 가까이 증가하는 등 국내 수출산업으로 주도하는 업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6일 한국무역협회 품목별 수출입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산 자동차부품 수출액은 246억 달러, 무역흑자는 197억 달러를 각각 기록하며 나란히 3년 연속 사상 최고액을 경신했다.

수출액은 한국무역협회가 주요 품목별 공식 수출입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77년 1100만 달러에서 35년 동안 2240배 가량 늘었고, 무역수지는 1억1400만 달러 적자에서 대규모 흑자로 전환됐다.

특히 작년 자동차부품 수출액은 2011년 한해 우리나라가 들여온 천연가스 수입액(239억 달러)과 맞먹는다. 또한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 동안 국내로 들어온 쌀, 밀, 보리, 밀가루 등 모든 곡물과 사과, 배, 키위 등 모든 과일의 총 수입액(194억 달러)을 상회한다.

1990년대 이전까지 국산 자동차부품 수출은 꾸준히 늘었지만 증가 속도는 완만했다. 완성차 수출액이 1977년 2300만 달러에서 1992년 28억4800만 달러로 120배 이상 늘어나는 동안 자동차부품 수출액은 1100만 달러에서 5억800만 달러로 46배 증가에 그쳤다. 자동차부품 수출 증가율이 완성차 수출 증가율의 3분의 1 수준인 셈이다.

그러나 1990년대 접어들면서 자동차부품은 지속적으로 수출을 늘려갔고, 특히 2000년대 들어서면서 국내 완성차 업체의 해외 생산기지 건설, 해외 업체들의 수요 확대 등에 힘입어 수출 증가율은 급격히 높아졌다.

실제 1992년 5억 달러를 소폭 웃돌았던 자동차부품 수출은 지난해 246억1000만 달러로 20년 사이 50배 가까이 급증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 자동차, 선박해양구조물 및 부품, 무선통신기기, 철강판, 합성수지 등의 수출액이 6~34배 가량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자동차부품 수출액 증가율은 더욱 두드러진다.

무역흑자 규모에서도 자동차부품은 지난 1992년 5억 달러 적자에서 지난해 197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처럼 지난 20년 동안 자동차부품 수출과 무역수지 흑자가 급증한 것은 1990년대 이후 국산 자동차부품의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점진적으로 향상되면서 해외 주요 업체의 수요가 늘어난 것이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아울러 국내 완성차 업체의 해외 인지도 제고와 함께 글로벌 생산거점 확보가 본격적으로 이뤄진 부분도 국산 자동차부품 수출이 크게 늘어나는 데 힘을 실었다.

한국산 자동차부품의 성장세는 미국, 중국 등 세계 주요 완성차 생산국과의 교역 추이에서도 뚜렷이 나타난다.

지난해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으로의 자동차부품 수출액은 44억5800만 달러로 역대 최고 기록이었다. 수출액이 수입액(12억9900만 달러)을 3.4배 이상 웃돌면서 무역흑자도 역대 최대인 31억5800만 달러에 달했다.

미국도 마찬가지다. 2012년 대미 자동차부품 수출액은 56억4200만 달러였던 반면 수입액은 3억6600만 달러로,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15배 이상 많았다. 무역흑자는 단일 국가 최대인 52억77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같은 한국 자동차부품의 급성장에는 국가 차원의 지원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정부는 2001년 부품·소재발전 기본계획, 2009년 자동차산업 활성화 방안 등의 정책을 통해 자동차 부품산업 발전에 힘을 쏟았다.

완성차업체 중에서는 현대·기아차가 해외 진출시 협력업체와 동반진출을 적극 추진, 부품 협력업체들이 다른 글로벌 유수 업체로 제품을 납품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공급처 확대를 통해 협력업체가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개발(R&D) 역량을 키우는 선순환이 가능하도록 한 것 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지원, 완성차 업체의 상생 노력, 부품업체의 자체 경쟁력 강화 등이 더해지면서 한국 자동차부품의 품질 및 가격경쟁력이 글로벌 상위 수준으로 올라선 만큼, 세계 주요 업체들의 한국 자동차부품에 대한 수요는 갈수록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