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에 하락
뉴욕증시,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에 하락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이호정기자] 뉴욕증시가 중국 증시 불안으로 인한 신흥국 자산 매도세가 계속되자 이에 따른 글로벌 경기둔화 불안감의 영향으로 하락 마감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58.04포인트(2.06%) 내린 1만6990.69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2014년 2월 이후 최대 하락률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도 43.88포인트(2.11%) 내린 2035.73을 기록했다. 나스닥종합지수는 141.56포인트(2.82%) 하락한 4877.49로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 하락률도 2014년 4월 이후 가장 깊었다.

이날 지수는 고용과 주택시장, 미국 동부의 제조업황에 대한 경제지표 호조가 있었음에도 중국의 위안화 약세 후 아시아 국가들의 외환시장 불안이 연쇄적으로 나타나며 켜진 불안심리가 장중 내내 퍼져갔다.

중국 증시는 경기둔화 우려로 오전장의 낙폭을 줄이는가 싶더니 오후 들어 다시 크게 하락해 전장보다 3.42%가 하락했다. 인민은행은 1200억 위안의 단기 유동성을 추가 공급해 사흘째 유동성 공급에 나섰지만 자본 유출에 따른 유동성 압박이 크다는 증거로 해석됐다.

아시아국들의 외환시장과 경제가 혼란에 빠진 모습도 불안을 증폭 시켰다. 베트남이 전일 자국 통화인 동화를 평가절하한 데 이어 이날 중앙아시아 최대 산유국인 카자흐스탄이 변동환율제를 전격 도입해 텡게화 가치가 34%나 폭락했다. 또 러시아 루블화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란드화 급락 가능성 등도 투자자들의 신흥국시장 불안심리를 확산했다.

이날 주요 경제지표는 호조를 보였다. 이날 미 노동부는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7만7000명을 기록해 시장 전망치인 27만1000명을 소폭 상회했고 밝혔다.

한편, 미 국채 10년물은 전일 대비 5.8bp 하락한 연 2.070%를 기록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