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영기 회장 "사모 시장에 관심 가져야"
황영기 회장 "사모 시장에 관심 가져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이호정기자] "기업인들이 영업비밀을 보호하면서 '돈'도 벌수있는 것이 사모자본입니다"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은 24일 자본시장연구원이 주최한 '사모 자본시장의 부상과 시사점 세미나'에서 축사를 통해 "사모시장에서는 비상장 상태에서도 자본 조달이 가능하다"며 "이는 비상장 중견 기업 오너들, 코스닥 상장사 대표가 관심을 가질 만한 얘기"라고 밝혔다.

황 회장은 "우리나라 공모시장은 정비도 잘 돼 있고 관리·감독도 우수하다"며 "불특정 다수가 시장에 들어오게되면 정말 정교한 투자보호자 장치를 만들어야 하는데, 전문적인 사람들이 들어오면 굳이 공적영역이 개입해서 규제할 필요가 적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모 시장이 발달한 미국에서는 신생 유망 기업들이 상장을 하지 않고도 원활하게 자본을 조달하고 있다며, 그 예로 세계 최대 차량 공유 서비스인 '우버'를 들었다.

황 회장은 "우버는 사모로 60억달러를 모았으며 시총은 500억달러로 추산된다"며 "요즘은 사모자본 시장이 커져 IPO 필요성이 줄고 있어, 이런 상황에서 공모시장과 사모시장의 밸런스를 어떻게 맞춰야할지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사모형태로 하는 투자자 조달 방법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며 그런 시장을 만들어가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벤쳐 캐피탈 회사도 상장만이 자금조달이 가능했는데 요즘은 사모 시장이 점점 커질 수록 전문투자자들의 자금 조달과 자금 횟수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는 사모 자본시장의 발달로 기업과 금융투자업계가 모두 이득을 볼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